부산 의원, 고가 부동산 집중
경실련이 지난 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부산 지역 국민의힘 의원 다수가 서울 강남권과 수도권에 고가 부동산을 집중적으로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이헌승(부산진구) 의원은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강남권 대표 고가 아파트 소유자로 분류됐다.
백종헌(금정구) 의원은 금정구 일대 공장과 근린건물, 양산 공장 등 비주택 재산만 140억 원대에 달했으며 전체 부동산 신고액은 180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성훈(북·을) 의원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61억원대 고급 아파트를 보유, 주택 자산 상위권에 포함됐다.
김도읍(강서을) 의원은 강서구 일대 근린건물 2채를 포함해 상가형 부동산 중심의 자산을 형성하고 있으며, 신고가액은 약 35억 원 수준이다.
곽규택(서·동구) 의원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약 22억 원대 아파트를 보유했으며, 지역구에서는 전세로 거주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의원 다주택 비율, 전국 평균보다 높아
경실련 분석에 따르면, 22대 국회의원 전체 299명 중 2주택 이상 다주택자는 61명(20.4%)이었다.특히 부산 지역 의원 중 상당수가 서울에 주택을 보유하거나 상가형 자산을 함께 가진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국회의원 평균 부동산 자산(19억 5천만 원)이 국민 평균(4억 2천만 원)의 4.7배에 달하는 가운데, 부산 의원들도 전국 상위권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역 간 자산 격차를 반영한다.
경실련 "공직자 부동산 보유, 정책 신뢰 흔드는 구조"
경실련은 "공직자가 고가·다주택을 보유한 채로 '집값 안정'을 주장하는 것은 정책 신뢰를 떨어뜨린다"며"1주택 실거주 외 토지·주택 보유 금지와 매각 원칙 입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또 "부산을 포함한 주요 지역 의원들의 강남권 주택 집중은 국민 체감 불평등의 상징이 되고 있다"며, 실사용 외 부동산 백지신탁제 도입과 공공택지 민간매각 금지 등 근본적 제도 개혁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