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지원 체계, 수요자 중심·AI 기반으로 개선

한성숙 장관 "공공도 서비스 혁신 이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불편하게 하지 말아야"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 방안. 중기부 제공

"중소기업 지원사업 정보를 어디서 찾고, 어떻게 신청해야 할지 모르겠다"

"생업이 바쁜데 신청 서류가 너무 많아 고액의 수수료를 내고서라도 브로커 손을 빌릴 수밖에 없다"

지난 8월 21일과 지난달 1일 중소벤처기업부 한성숙 장관이 각각 주재한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와 '중소기업 지원 공공기관 정책협의회' 등에서 나온 중소기업인들의 목소리다.

정부가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정작 수요자인 중소기업인들은 그 효과를 온전하게 누리지 못하고 있다는 절절한 호소다.
 
이에 중기부가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한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4일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중소기업 지원 체계를 수요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AI(인공지능) 기반으로 혁신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지원사업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이를 위한 주요 추진 방향으로는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과 AI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 디지털화로 서류 부담 감축, 불법 브로커 등 제3자 부당 개입 차단, 시장·AI 기반 혁신기업 선별 강화가 제시됐다.

먼저, 정부는 현재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로 이원화한 중소기업 지원사업 정보 제공 플랫폼을 통합해 내년 말부터는 하나의 플랫폼(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통합지원 플랫폼은 정부 부처와 지자체 등이 주관하는 2700여개 중소·벤처기업·소상공인 지원사업 공고를 통합 제공하고 중소기업 확인서와 벤처기업 확인서 등 21종의 확인·인증서를 통합 발급하게 된다.
 
중소기업 지원 통합 플랫폼 구축 개요. 중기부 제공

또한, 통합지원 플랫폼 로그인만으로 지원사업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하도록 지원사업 신청 채널들과 연계할 방침이다.

특히 정부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사업 공고를 일일이 읽어가며 적합한 지원사업을 찾아야 했던 문제를 AI를 통해 해결하기로 했다.

AI가 기업 업종·지역과 지원사업 수혜 이력, 사용자 검색 기록 등을 학습해 각 기업에 최적화한 지원사업을 추천하는 방식이다.

AI가 기업별 맞춤형 지원사업 추천, 사업계획서 초안 작성도 AI가

수출 중소기업에는 맞춤형 수출국과 관세 정보, 소상공인에게는 맞춤형 상권 분석 정보, 제조기업에는 맞춤형 기술 공급기업 추천 등 지원 대상별 특화된 정보도 제공될 예정이다.

지원사업 신청 시 기업이 직접 제출해야 하는 서류도 현행 평균 9개에서 4.4개로 50% 이상 감축한다.

이를 위해 사업자등록증과 재무제표, 중소기업 확인서 등 행정기관 발급 서류는 지원사업 신청자가 아니라 지원 기관이 행정안전부 행정정보와 공공마이데이터 서비스 등 연계를 통해 자체 확보하게 된다.

생업에 바쁜 중소기업·소상공인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사업계획서 작성도 AI 도움을 크게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사업자등록번호와 희망 지원사업, 사업 계획 키워드만 입력하면 AI가 기업 정보와 사업계획서 양식, 우수 계획서 등을 수집·학습해 신청 기업에 특화한 사업계획서 초안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중기부 한성숙 장관은 "이제는 공공도 서비스 혁신을 이뤄내야 한다"며 "더 이상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불편하게 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소기업 지원체계가 사람 중심 방식으로, 직관적이고 친숙하며 손쉬운 시스템으로 개선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