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이사회가 4일 차기 대표이사 선임 절차에 들어가는 가운데, 김영섭 KT 대표가 이날 연임 포기 의사를 밝힐지 여부가 주목된다. 이와 함께 이사회는 이날 전 고객을 대상으로 한 유심(USIM) 무상 교체 여부를 결정한다.
KT 등에 따르면, KT 이사회는 이날 오전 회의를 열고 차기 대표 공모 절차를 논의한다. KT 정관에 따르면, 대표이사 임기 만료 최소 3개월 전까지 사내·외 대표이사 후보군을 구성한다고 돼 있다. 김 대표의 임기는 내년 3월까지로, 이달 중 대표 공모 절차에 들어가야 한다.
KT의 차기 대표 선임은 사외이사 8명으로 구성된 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주도한다. 위원회는 사내외 후보군을 구성한 뒤, 서류 및 면접 평가를 거쳐 최종 후보 1인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후보는 정기 주주총회 공고 전까지 확정되면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최종 선임된다. 사내 후보의 경우 회사 또는 계열회사 재직 2년 이상, 부사장 이상 직급, 경영 전문성 및 KT 사업 이해도 보유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후 주주총회에서 출석 주주 의결권의 5분의 3 이상과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현직 대표 우선심사제는 적용되지 않는다. 우선심사제는 현직 대표가 연임 의사를 밝힐 경우, 별도 공모 없이 우선 심사를 받도록 한 절차로, 공정성 논란으로 인해 KT는 2023년 해당 제도를 폐지했다. 이에 따라 모든 후보자가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하게 된다.
이목은 김 대표의 거취에 쏠린다. 업계에서는 김 대표가 최근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 관련해 책임론을 무시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이날 이사회에서 연임 포기를 선언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 대표도 최근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책임을 지겠다'는 취지로 발언한 바 있다. 그는 해킹 사태 관련 책임을 묻는 질의에 "총체적 경영 책임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합리적인 수준의 책임을 지는 게 마땅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구체적인 책임 수준에 대해서는 "사퇴를 제외한 것이 아닌, 포괄하는 책임"이라고도 말했다.
차기 KT 대표이사로는 박윤영 전 KT 기업부문장, 김태호 전 서울교통공사 사장, 박태웅 대통령소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공공AX 분과장, 구현모 전 KT 사장과 윤경림 전 KT 그룹트랜스포메이션부문장, 홍원표 전 SK쉴더스 대표, 주형철 SK컴즈 전 대표가 거론된다.
한편 이사회는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날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을 무료로 교체할지 여부를 논의한다. 앞서 KT는 지난달 21일부터 사이버 침해 피해 고객만을 대상으로 위약금 면제와 유심 교체를 진행 중이다. 이후 보안 우려가 확산하자 국회에서 추가 조치의 필요성이 제기됐고, 검토에 들어갔다. 다만 위약금 면제 방안 논의는 안건에서 제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