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살림에도.." 경기도, 내년 예산 일산대교 무료화·극저신용대출 등 주목

'휴머노믹스' 핵심사업 성과 극대화
자체사업 7510억원 줄이고 지방채 5447억원 발행

경기도청사.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민선 8기 마지막 해인 2026년도 본예산을 39조9046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
 
김동연 경기지사의 핵심 철학인 '사람 중심의 경제 전략'을 기반으로 확장 재정 기조를 이어가며 그동안 추진해 온 핵심사업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경기도는 일반회계 35조5725억 원, 특별회계 4조3321억 원 등 모두 39조9046억 원 규모의 내년도 본예산안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올해 본예산 38조7221억 원에 비해 1조1825억 원(3.1%) 늘었다.
 
도는 올해 지방채 발행이라는 이례적인 수단을 동원해 반도체, 기후대응, 사회간접자본(SOC) 등 미래 성장 동력에 대규모 선제적 투자를 시작했다. 반면 내년도 예산은 기틀을 마련한 사업들이 도민의 삶에 실질적인 혜택이 이어지도록 집행 효율성을 높이고, 국정 과제와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편성됐다.
 
재원 확보는 국고보조금(16조4448억 원)과 지방세(16조633억 원)를 통해 충당한다. 지방세의 경우 부동산 경기 위축 등의 영향으로 올해보다 422억 원 감소할 전망이다.
 
내년도 예산은 '사람 중심 경제 전략'인 휴머노믹스의 4대 전략(기회·돌봄·기후·평화)을 구체화하며 민생경제, 미래성장, 돌봄안전, 지역개발 등 네 가지 분야에 집중 투자된다. 이에 따라 자체사업 예산(3조9083억 원)을 올해보다 7510억 원 축소 편성하고 지방채를 5447억 원 발행해 SOC사업에 사용하기로 했다.
 
주요 사업별 편성 내용을 보면 민생경제 분야의 경우 8058억 원을 편성해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운영(3120억 원),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100억 원), 소상공인 더 힘내고 카드 지원(30억 원) 등에 사용하기로 했다.
 
특히 내년 1월 1일부터 일산대교 통행료 무료화를 추진하기로 하고 관련 사업비의 50%에 해당하는 200억 원을 배정했다. 나머지 50%는 김포·고양·파주 등 기조지방자치단체와 정부가 분담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경기도만 지원할 경우 통행료는 현재 1200원(승용차 기준)에서 600원으로 줄게 된다.
 
미래성장 분야는 로봇산업 육성(679억 원), RE100 소득마을(128억 원), AI 혁신 클러스터 조성(25억 원) 등 모두 679억 원이 반영됐다. 주 4.5일제 시범사업에 201억 원을 편성해 기업당 최대 2000만 원, 근로자 1인당 월 최대 26만 원의 임금보전장려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돌봄안전 분야의 경우 1조3234억 원을 편성했다. 극저신용자 대상 소액금융 지원(30억 원), 간병 SOS 프로젝트(21억 원) 등 특화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으며 '선감학원 아동 인권침해 사건' 피해자에 대한 배상금(200억 원)과 선감학원 옛터 역사문화공간·박물관 조성(19억 원)에도 예산을 할애했다.
 
지역개발 분야는 주한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 기금(300억 원), 광역철도 건설사업(2130억 원), 공공도서관 건립(74억 원) 등 모두 5624억 원을 배정했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경기 회복과 도민 체감도가 높은 정책 실현을 위해 적극적 재정 역할을 수행하고, 지출구조 개선과 재정투자 효율성 제고를 통해 전략적으로 재원을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내년도 본예산안은 4일부터 다음 달 18일까지 열리는 도의회 정례회에서 심의될 예정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