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 지연에 금호지구 상권 '직격탄'(종합)

금호지구 상인들 "매출 반토막"…심철의 시의원 "광주시는 생계 대책 내놔야"
광주시 "현재 도로 개방율 63%…안전 최우선, 상인들 생계 지원 방안 논의중"

광주광역시의회 심철의 의원(더불어민주당·서구4)은 3일 제338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 5분 발언에서 "금호지구 상권이 붕괴 직전"이라며 시의 책임 있는 대책을 촉구했다. 광주시의회 제공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 지연으로 광주 서구 금호지구 상권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공사 펜스가 상가 앞까지 밀착 설치돼 차량 통행은 물론 보행로도 한 사람 겨우 지날 정도로 좁아지면서 상인들이 '매출 반토막'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회 심철의 의원(더불어민주당·서구4)은 3일 제338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광주시가 약속한 공기를 지키지 못하면서 금호지구 상권이 붕괴 직전에 놓였다"며 "시가 책임 있는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심철의 의원은 "지난 10월 16일 이후 도로 통제로 차량 접근이 차단되고, 공사 펜스가 가게 앞까지 붙어 손님 발길이 끊겼다"며 "식자재마트는 지난달 매출이 전달보다 2천만원 가까이 줄고, 의류 매장들은 하루 종일 손님이 한 손으로 셀 정도"라고 현장 상황을 전했다.

그는 "상인들은 공사 전체에 대한 보전이 아니라, 시가 약속한 공기 이후 지연으로 인한 피해만큼의 최소한의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며 "현금 보상이 어렵다면 지역화폐나 소비쿠폰, 임시 하차공간 설치, 공영주차 지원, 배달비 지원, 공공기관 우선구매 같은 간접지원이라도 즉시 시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공사의 이익은 광주 전체가 나누지만, 지연의 고통은 금호지구 상인에게만 전가되고 있다"며 "지연 피해 지원 방안, 접근권 회복 대책, 공정 및 차선 개방 일정 공개, 상가 피해 실태조사 착수 등 광주시의 책임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는 "공사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되 상인들의 생계 지원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광주시 김준영 시민안전실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건설사업 도로 개방율이 10월 31일 기준 63%에 달한다"며 "백운광장 일부와 장비 반입구 등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오는 12월 22일까지 도로 개방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이어 "상생카드 할인율을 높이거나, 시가 물품을 구매하는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직·간접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현재 공구별 도로 개방율은 1공구(시청~운천저수지) 93%, 2공구(운천저수지~월드컵경기장) 34%, 3공구(월드컵경기장~무등시장) 60%, 4공구(무등시장~양림휴먼시아아파트) 52%, 5공구(양림휴먼시아아파트~산수시장) 66%, 6공구(산수시장~효동교차로) 75%다.

도시철도 2호선 공사 지연으로 인한 상권 피해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면서, 시민 불편과 지역 상권의 이중고를 줄이기 위한 광주시의 실질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