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새 수장 정재헌 "한국, 아시아 최대 AI 허브로 만들 것"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첫 공식 업무
"AI 데이터센터 종합 사업자로 도약할 것"

정재헌 SKT CEO가 3일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발표하고 있는 모습. SK텔레콤 제공

정재헌 SK텔레콤 신임 최고경영자(CEO)가 "한국을 아시아 최대 인공지능(AI) 허브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정 CEO는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연설은 신임 CEO로 선임된 이후 첫 공식 업무다.

그는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 건설과 그래픽처리장치 클라우드 구축을 통해 AI 인프라 기반을 다졌다"며 "이런 역량을 바탕으로 AI 인프라의 본격적인 확장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 CEO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건립 중인 울산 AI DC 용량을 총 1GW 이상 규모로 확대하고, 서남권에도 AI DC를 세워 국내 거점을 강화한 뒤 베트남·말레이시아·싱가포르 등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겠다고 했다.

이를 통해 제2, 제3의 울산 AI 데이터센터 모델을 만들어 글로벌 기업의 한국 투자를 유도하고, 한국을 아시아 최대 AI 허브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정 CEO는 "울산 AI 데이터센터 공개 이후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SKT의 개발 역량에 주목하기 시작했다"며 "대한민국이 아시아 AI 인프라 허브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 CEO는 SK그룹 관계사들과 동남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공개했다.

SK텔레콤은 SK이노베이션과는 베트남 사업을 추진해 LNG 발전소를 통한 전력 확보에 더해 냉열 에너지를 DC 냉각 시스템에 활용한 AI DC를 구축할 계획이다.

그러면서 "AI 서비스가 늘어남에 따라 통신사가 확보해 온 네트워크 인프라가 재조명받고 있다"며 전국에 연결된 통신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도 강조했다.

또 SK그룹의 제조 역량 및 시설과 SK텔레콤의 AI 기술 인프라를 결합해 제조 현장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정 CEO는 향후 설계·구축·운영 등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전체를 총괄하는 종합 사업자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그는 "AI 인프라는 기업과 국가 경쟁력의 핵심 동력"이라며 "SK텔레콤은 대한민국 대표 AI 사업자로서 정부와 함께 AI G3 도약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