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정부가 500년 전 자국의 아메리카 대륙 정복 당시 원주민들이 '고통(苦痛)과 불의(不義)'를 겪었음을 인정하고 멕시코 정부에 유감을 표명했다.
이에 따라 멕시코가 스페인 측에 사죄를 요구했다가 스페인 측이 이를 거부하면서 경색됐던 양국 관계가 6년여만에 풀릴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호세 마누엘 알바레스 스페인 외무장관이 자국 수도 마드리드에서 열린 행사에서 공개 연설을 통해 화해와 사죄의 뜻을 밝혔다.
그는 멕시코 원주민 여성들을 주제로 한 전시회의 개막식에서 연설하면서 양국의 공동 역사에 대해 "매우 인간적인 역사이며, 모든 인간 역사처럼 빛과 그림자가 공존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고통도 있어 왔다. 고통과 원주민들에 대한 불의가 있었고, 이 전시회는 이들에게 바쳐진 것"이라며 "불의가 있었고 오늘날 이를 인정하고 유감스럽게 생각하는 것이 올바르다. 왜냐하면 이 역시 우리가 공유한 역사의 일부이며 우리는 이를 부인할 수도 없고 잊을 수도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앞서 2019년 3월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당시 멕시코 대통령은 펠리페 6세 스페인 국왕과 프란치스코 당시 교황 앞으로 서한을 보내 식민통치와 정복에 따른 "학살과 억압"에 대한 사과를 촉구했다.
당시 스페인 정부는 이 서한의 내용을 "단호히 거부"한다면서 "500년 전에 스페인 사람들이 현재의 멕시코 영토에 닿은 일을 현대의 관점으로 정죄해서는 안 된다"며 양국의 공동 역사를 "분노 없이, 그리고 공유된 시각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우리는 (전임자인)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이 (6년 반 전에) 보냈던 서한과 의견이 같았으며, 여전히 스페인 측의 답장을 기다리고 있다"며 과거사에 대한 스페인 측의 사과를 재차 촉구했고, 그로부터 나흘 뒤 스페인 측이 사과를 한 셈이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알바레스 장관의 발언이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나아간 것이라며 환영했다.
그는 "사죄야말로 정부와 국민을 고귀하게 만든다"며 "이는 굴욕이 아니다. 정반대다. 특히 원주민 여성의 해인 올해에 스페인 정부의 외무장관께 축하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스페인의 멕시코 정복은 1519년 에르난 코르테스가 수백 명의 기병대를 이끌고 당시 아즈텍 제국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으로 진군하면서 시작됐다.
스페인 병사들은 천연두 등 아메리카 대륙에 그때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질병을 원주민들에게 옮겼고, 2년 뒤 이 도시를 점령하고 원주민들을 가톨릭으로 개종시키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