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 지방선거와 동시에 치러질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부산이 전국 정치의 최대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지방선거에 출마할 생각은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부산 보궐 출마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는 가운데 조국혁신당 조국 비상대책위원장 역시 고향 부산에서의 정치 복귀를 공식화하면서 '대어들의 부산 대첩' 시나리오가 힘을 얻고 있다.
한동훈 "지선 불출마"…부산 보선은 열려 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 27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지방선거에 출마할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하지만 "내년 6월에 다시 말하자"며 여지를 남긴 발언이 정치권의 해석을 불렀다.
정가에서는 이를 '광역단체장 도전은 접되, 재·보궐선거 출마는 열어둔 발언'으로 본다.국민의힘 내부에서는 "한 전 대표가 원내 복귀를 위한 전략적 선택을 준비 중"이라는 말이 공공연히 나온다.
특히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부산 북구갑)과 김도읍 의원(부산 강서구)이 부산시장 출마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두 지역이 공석이 될 경우 '한동훈 카드'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한 전 대표는 과거 부산 방문 때마다 "롯데자이언츠 팬"임을 자처하며 부산 민심에 친근한 이미지를 쌓아왔다는 점도 지역 정가의 관심을 끈다.
"부산은 험지" vs "보수의 숙원지"
하지만 한 전 대표의 부산행을 두고 당내 의견은 갈린다.국민의힘 정성국 의원은 최근 라디오 인터뷰에서 "누가 봐도 100% 지는 곳에 가라는 건 음모"라며 부산 출마설을 강하게 부인했다.
그는 "한 전 대표가 직접 그런 언급을 한 적이 없다"며 "지어낸 이야기로 한 전 대표를 음해하려는 시도"라고 반박했다.
반면 지역 정치권 일각에서는 "부산 북갑은 국민의힘이 반드시 되찾아야 할 상징 지역"이라며 "보수의 차세대 주자인 한 전 대표가 '내가 나선다'는 결단을 내릴 수 있는 무대"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부산 북갑은 부산에서 유일한 민주당 지역구로, 국민의힘이 이곳을 탈환하면 '낙동강 벨트' 균열이라는 정치적 상징성을 얻게 된다.
조국, 사면 뒤 고향서 '정치 복귀' 선언
조국혁신당 조국 비상대책위원장의 '부산행'도 눈길을 끈다.
그는 지난 8월 24일 부산 민주공원을 찾아 "사면 복권 후 첫 공식 행보를 고향에서 시작한다"며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좌완투수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사면 직후 곧바로 정치 행보를 재개한 조 위원장은 "극우정당 국민의힘을 반드시 패퇴시키겠다"며 내년 선거 출마 의지를 숨기지 않았다.
정치권에서는 조 위원장이 전재수 장관이 시장 출마로 자리를 비울 경우 부산 북갑 보궐선거에 나설 가능성을 유력하게 본다.
조 위원장이 부산 출마를 택할 수 있는 배경에는 PK의 상징성과 친노·친문 정치 기반 회복이라는 정치적 계산이 자리한다.
지난 8월 봉하마을과 민주공원 참배, '부산민주화의 성지' 행보는 이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한동훈 vs 조국' 부산 대첩 현실화하나
부산 정치권 안팎에서는 '한동훈 대 조국'의 대결 구도가 현실이 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조국 비상대책위원장이 고향 부산에서 일찌감치 정치 복귀를 선언했고, 한 전 대표가 재보선 출마를 통해 '정치 재기'를 노릴 경우 부산은 단순한 지역구 싸움을 넘어 양 진영 상징 인물들의 전국적 대결 무대가 된다.
특히 북갑 보궐이 성사될 경우 '정의로운 검사 한동훈'과 '사면된 개혁가 조국'의 맞대결이라는 극명한 구도가 형성된다.
부산 정치권 관계자는 "부산은 보수의 심장인 동시에 개혁 진영의 상징도 있는 도시"라며 "두 전직 법무부 장관이 맞붙는다면 내년 재보선의 최대 하이라이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PK 정치의 분수령
부산을 비롯한 PK(부산·경남) 지역은 내년 지방선거와 재보궐의 최대 승부처로 꼽힌다.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을 배출한 PK는 민주당의 뿌리이자, 동시에 보수 진영의 전략 요충지다.
국민의힘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부산시장직을 반드시 지켜내겠다는 목표 아래 조직 정비에 나서고 있다.
당내에서는 "부산지역에서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치러질 경우, 반드시 탈환하겠다"는 기류도 감지된다.
반면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은 '고향 정치 복귀'와 PK 회복을 내세워 지역 기반을 다지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부산은 내년 지방선거의 전국 판세를 가늠할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며 "한동훈과 조국, 두 전직 법무부 장관이 부산에서 다시 맞붙는다면 단순한 선거가 아니라 상징적인 정치 대결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