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AI)에 많이 노출된 업종에서 청년 고용이 두드러지게 감소한 반면 50대 고용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3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국내 노동시장에서 AI 도입 초기 주니어 고용은 줄고 시니어 고용은 늘어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대표적 생성형 AI 도구 챗GPT가 출시된 지난 2022년 11월 이후 15~29세 청년층의 고용 흐름을 국민연금 가입자 수를 통해 분석했다.
AI 노출도를 1~4분위로 구분해 비교 분석한 결과 청년 고용 감소는 주로 AI 노출이 잦은 분위(3~4분위)의 업종에 집중된 반면, 50대는 오히려 AI 노출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했다.
일자리 증감 정도를 보면 2022년 7월~2025년 7월 청년층 일자리는 21만1천개 감소했고, 이 가운데 20만8천개가 AI 노출도 3~4분위 업종이었다.
같은 기간 50대 일자리는 20만9천개 증가했고, 이 가운데 14만6천개가 AI 노출도 3~4분위 업종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연령대별 고용 영향 차이와 관련해 "주니어는 AI로 대체하기 쉬운 정형화되고 교과서적인 지식 업무를, 시니어는 업무 맥락 이해, 대인 관계 등 AI가 현재로서 대체하기 어려운 암묵적 지식과 사회적 기술이 필요한 업무를 주로 담당하기 때문"이라면서 "실제로 낮은 연차일수록 AI 활용에 따른 업무시간 감소율이 높았는데 이는 대체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AI 확산에 따른 임금 영향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단기적으로 임금을 조정하기 어려운 임금 경직성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청년 고용을 늘리기 위해 "스타트업 지원 강화 등 청년층이 새로운 산업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