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윤 전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은 과거 김건희씨와의 개인적인 통화를 두고 '김승희 전 대통령실 의전비서관 자녀 학교폭력 무마 의혹'이 불거진 데 대해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장 전 수석은 30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2023년 7월 20일 김씨와 8분 49초간 통화한 사실이 있느냐. 있다면 부적절한 것 아니냐'는 더불어민주당 문정복 의원의 질의에 "통화한 기억이 있다"며 "적절성 여부를 떠나, 걸려 온 전화를 받은 것"이라고 답했다.
'학폭을 무마해 달라는 내용의 통화였느냐'는 질문에 "전혀 아니다. 학폭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당시 장 전 수석은 교육부 차관이었다.
그는 "자세한 멘트는 기억나지 않지만, 당시 사회적 논란이 있었던 교육 현안들이 많았다"며 "통화한 날은 서이초 교사가 사망한 지 이틀 되는 날이었고, 그런 현안들을 이야기하면서 교육부가 잘 대처했으면 좋겠다고 했다"며 "개인적 사이가 아니어서, 전화가 온 것에 대해 조금 이례적으로 느꼈다"고 말했다.
장 전 수석은 학폭 무마 의혹과 관련해서는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해당 학폭 사건의 신고일은 김 여사와의 통화 하루 전인 2023년 7월 19일"이라며 "교육부는 개별 학폭 사안을 확인할 수 없게 돼 있는데 신고하자마자 그 다음 날 그런 얘기를 했다는 것 자체가 난센스"라고 주장했다.
당시 경기도 성남의 한 초등학교 3학년이던 김 전 비서관 딸은 같은 학교 2학년 여학생을 때려 전치 9주의 상해를 입혔다. 이후 피해 학생 신고로 열린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서는 강제전학 아래 단계인 출석정지 10일과 학급 교체 등 처분을 내렸다.
학폭위는 고의성, 심각성, 지속성, 반성 정도, 화해 정도 등 5개 지표에서 16점 이상으로 평가하면 강제전학 처분을 내리는데 김 전 비서관 딸은 1점 모자란 15점을 받아 강제전학을 면했다.
학폭 사건이 발생한 다음 날 김씨가 장상윤 당시 교육부 차관과 통화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김씨가 학폭 사건을 무마하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