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조울증 6년 새 환자 40%↑…청년층·여성 중심

올해 상반기 우울증 환자 84만명·조울증 환자 11만명
2018년 대비 10세 미만 우울증 환자 123% 증가

연합뉴스

우울증과 조울증을 앓는 국민이 최근 6년 사이 40%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 이하 젊은층과 여성 환자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는 2018년 75만2천여명에서 지난해 110만6천여명으로 47.0% 늘었다. 같은 기간 진료비도 3908억 원에서 7615억 원으로 거의 두 배가 됐다.

조울증(양극성 장애) 환자 역시 9만5천여명에서 13만9천여명으로 45.7% 증가했다. 진료비는 1161억 원에서 1823억 원으로 57.0% 늘었다. 두 질환의 지난해 진료비 총액은 9439억 원으로, 1조 원에 육박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우울증 환자는 84만3천여명, 조울증 환자는 11만4천여명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진료비는 각각 3932억 원과 939억 원으로, 연간 환산 시 올해 전체 진료비는 1조 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

연령별로는 10대 미만부터 30대까지 젊은층의 증가폭이 특히 컸다. 우울증 환자는 2018년 대비 지난해 기준 10세 미만이 967명에서 2162명으로 123.6%, 30대가 9만156명에서 19만1123명으로 112.0%, 20대가 9만7675명에서 19만4638명으로 99.3%, 10대가 3만7250명에서 7만3075명으로 96.2% 늘었다. 지난해 기준 10세 미만~30대 환자가 전체의 41.7%를 차지했다.

조울증 환자 중 10세 미만은 95명에서 408명으로 4.3배 증가했고, 10대 환자도 같은 기간 90.5% 늘었다. 성별로는 지난해 기준 우울증 환자의 67.2%, 조울증 환자의 62.4%가 여성이었다.

김미애 의원은 "우울증과 조울증은 단순한 개인의 질환이 아니라 사회 구조의 병리 현상"이라며 "청년층과 여성층을 중심으로 증가하는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정부가 조기에 개입하고, 예산 확대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