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빼라 vs 시민이 판단"…광주 교육감 여론조사 논란 확산

직함 표기 공방에 여론조사 중단까지, 정치적 유불리 놓고 격돌

김용태 전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이 29일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조시영 기자

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질 광주광역시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들어간 경력 직함 표기'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일부 후보들이 정치적 색채가 짙은 경력 표기를 문제 삼아 여론조사 보이콧을 선언하자, 시민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는 반발이 맞서고 있다.
 
언론사들이 본격적으로 여론조사를 시작하면서, 후보로 거론되는 인사들의 경력과 직함 표기 방식이 지역정가를 달구고 있다.
 
특히 '노무현 시민학교장' 등 정치적 인물이 포함된 경력이 표기되자, 조사의 공정성을 둘러싼 시비가 불거지고 있다.

'노무현' 등 특정 인물의 이름이 들어간 경력은 응답자의 호감도를 높여 지지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주장과, 후보의 정당한 이력을 가감 없이 알리는 건 시민의 알권리라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일부 후보들은 해당 경력을 그대로 표기할 경우 언론사의 조사를 보이콧하겠다고 밝혔고, 논란이 확산되자 일부 언론사는 광주시교육감 관련 여론조사를 잠정 중단했다.
 
논란의 중심에 선 김용태 노무현시민학교장은 29일 기자회견을 열고 "후보자의 경력은 그 사람의 삶의 궤적이자 철학의 단면"이라며 "경력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시민의 판단에 맡기는 것이 민주사회의 기본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정 후보의 경력을 이유로 조사를 보이콧하는 것은 시민의 알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라며 "불리할 땐 거부하고 유리할 땐 활용하는 건 정당성을 잃은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일부 예비 후보들은 "정치적 상징성이 강한 이름이 포함된 직함은 응답자 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중립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론조사를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면서 특정 정치인 직함이 들어간 경력 사용과 관련해 정치적 유불리를 놓고 한동안 공방이 이어질 전망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