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복귀 전공의도 내년 2월 전문의 시험 허용"…'선 응시 후 수련'

내년 2월 전문의 자격시험 '내년 8월 말 수료 예정자'까지 확대
내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모집…'내년 8월 말 인턴 수료 예정자'까지
합격 후 내년 8월 말까지 실제 수련해야…못하면 합격 취소
내년 하반기(8월) 졸업 의대생 1500명 대상 의사 국가시험도 추가 실시

류영주 기자

정부가 지난 9월 병원으로 복귀한 전공의들에게 내년 초 전문의 시험과 레지던트 모집에 미리 응시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29일 "전공의 복귀 상황과 의료인력 수급을 고려해 2026년도 전문의 자격시험, 레지던트 1년차 모집, 의사 국가시험 시행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내년 2월 시행 예정인 전문의 자격시험 응시자격을 기존 '내년 5월 말 수료 예정자'에서 '내년 8월 말 수료 예정자'까지 확대한다. 내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모집에서도 내년 8월 말까지 인턴 수료 예정자에게 미리 지원 기회를 부여한다.

다만 합격 후 내년 8월 말까지 실제 수련을 마치지 못하면 합격이 취소된다.

이번 조치는 수련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전문의 배출 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 일정대로라면 내년 수련을 마치는 약 2천명 중 3분의 2가 2027년 2월 시험까지 6개월 이상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로 인해 전문의 인력 공급이 늦어질 우려가 제기돼 왔다.

복지부는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응시자격을 한시적으로 확대하되, 수련의 질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대한의학회와 각 전문과목학회가 외부평가 기준을 마련해 수련 이행 여부를 객관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방침이다.

레지던트 1년차 모집은 통상 병원과 전문과목별로 정원을 배정해 상반기에 대부분 선발하고, 하반기에는 일부 과목에서만 결원 범위 내에서 모집해 왔다. 그러나 내년에는 상당수 인원이 하반기에 인턴 수련을 마치게 돼, 시기별 응시 기회 불균형과 지역·전문과목별 쏠림 현상이 우려됐다.

이에 대한의학회가 전문의 자격시험과 레지던트 선발 응시자격 확대를 제안했고, 수련병원협의회 등이 참여한 수련협의체에서 시행 가능성과 보완 방안을 논의해 왔다.

한편 내년 하반기(8월) 의대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의사 국가시험도 추가로 실시된다. 이는 의대생 복귀 이후 대학 학사 일정 조정과 의료인력 공급의 연속성을 고려한 조치다. 내년 8월 졸업자는 약 1500명으로 전체 본과 4학년의 3분의 2 수준으로 예상된다.

추가 국시는 내년 3~4월 실기시험, 7월 필기시험으로 진행되며, 세부 일정은 오는 11월 말(실기)과 내년 4월(필기)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시행방안은 내년에 한해 적용하며, 2027년 이후에는 수련 상황과 의료현장 의견을 반영해 별도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