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마그룹의 창업주 윤동한 회장이 콜마홀딩스 이사회 복귀를 시도했지만, 주주총회에서 부결되며 불발됐다. 이번 결과로 콜마그룹 내 오너 일가의 경영권 주도권은 윤상현 부회장 쪽으로 더욱 기울게 됐다.
콜마홀딩스는 29일 세종시 산학연클러스터지원센터에서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서 윤동한 회장과 김치봉·김병묵 전 콜마비앤에이치 대표를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상정했으나, 찬성률 17%에 그쳐 부결됐다고 밝혔다.
상법상 주총 안건이 통과되려면 출석 주주의 과반수이자 전체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 1 이상이 찬성해야 하지만 기준(25%)에 미달했다.
콜마홀딩스 최대주주(지분율 31.75%)인 윤상현 부회장은 이번 안건이 부친 윤동한 회장과 관련된 가족 사안임을 이유로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고 기권했다. 회사 측은 "가족 관련 사안에 대해 직접적인 판단을 내리기보다 시장과 주주의 뜻을 존중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번 안건 찬성률 17%에는 윤 회장 일가 등 특수관계인 지분이 포함돼 있다. 이를 제외하면 일반 소액주주 중 찬성 비율은 1% 미만으로, 시장과 주주의 독립적인 판단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표결에 참여한 전체 기관투자자들이 일제히 반대 의사를 표명하면서 윤 회장의 복귀 시도는 사실상 좌절됐다.
콜마홀딩스 관계자는 "이번 주총 결과는 경영 쇄신과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을 추진해온 회사의 방향성이 주주와 시장의 신뢰를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주주가치 중심의 경영 원칙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윤상현 부회장은 자회사 콜마비앤에이치의 실적 부진을 이유로 이사회 개편을 추진하며 부친 윤동한 회장과 갈등을 빚었다.
지난달 임시주총에서 윤 부회장과 이승화 전 CJ제일제당 부사장이 사내이사로 선임되면서 윤 부회장이 주도권을 잡았고, 이후 콜마비앤에이치는 윤여원 대표 단독 체제에서 이승화·윤상현·윤여원 3인 각자 대표 체제로 전환됐다.
이번 주총에서도 윤동한 회장이 '맞불 인사'를 시도했으나 부결되면서, 경영권 주도권은 윤상현 부회장 중심으로 굳어지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