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웹서비스 등 글로벌 7개 기업, 韓에 5년간 13조 투자한다

AWS·르노 등 7개 글로벌사 5년간 13조원 국내 투자
FDI 6억 6천만달러 투자신고
산업장관 "규제개혁과 재정지원,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열린 투자협약식에서 맷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글로벌 7개 기업이 우리나라에 5년간 90억달러(약 13조원)를 투자한다.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정부가 중점적으로 육성하는 전략산업 분야의 투자가 대거 이뤄질 전망이다.

산업통상부는 29일 APEC CEO SUMMIT KOREA 2025 열리고 있는 경주 예술의 전당에서 글로벌 기업 투자 파느너십 행사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아마존웹서비스, 르노, 앰코테크놀로지, 코닝, 에어리퀴드, 지멘스 헬시니어스, 유미코아 등 7개사는 향후 5년간 우리나라에 90억달러 규모로 직·간접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AI),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차, 바이오 등 정부가 중점 육성하는 전략산업에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투자 계획의 첫 단계로 6억6천만달러 규모의 외국인직접투자(FDI)를 투자 신고했다.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AWS(아마존웹서비스) AI 인더스트리 위크'. 연합뉴스

맷 가먼 아마존웹서비스 대표는  "한국 클라우드 인프라 확충을 위해 2031년까지 50억 달러 이상의 투자를 진행해 나가겠다"고 했다. 니콜라 르노 파리 한국 대표는 "르노그룹은 한국을 5대 전략적 글로벌 허브 중 하나로 지정하고 미래 차 전략에 매우 중요한 위치로 생각하고 있다"며 "기존 생산설비를 전기차 신차 생산설비로 전환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투자가 성공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입지·환경·노동 분야의 규제개혁과 재정지원, 세제 혜택 등 투자 인센티브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그간 글로벌기업의 투자 유치를 위해 해외 기업설명회(IR), 외투기업 간담회 등을 통해 우리나라가 최적의 투자처라는 점을 홍보해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