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8일 열리는 경상남도에 대한 국정감사에 '정치브로커' 명태균씨가 증인으로 채택돼 박완수 경남지사와 대면이 예상되는 등 관련 의혹이 쟁점으로 떠올라 공방이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경남도의 국정감사는 민선 8기 박 지사 취임 첫해인 2022년 이후 3년 만이다. 광역지자체는 통상 2년마다 국감을 받게 돼 지난해 받아야 했다. 하지만 전국체전 개최 지자체를 국감에서 제외하는 국회 관행에 따라 지난해 전국체전이 열렸던 경남은 받지 않았다.
이번 국감에서는 막대한 재난 피해가 발생한 산청·하동 대형산불과 여름철 극한호우, 그리고 부산경남 행정통합, 부산항만공사 명칭 문제 등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 명태균씨 관련 의혹은 정치적 현안으로서 집중적으로 다뤄질 가능성이 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지난 21일 전체회의에서 명씨를 경남도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했다. 애초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으로 재판을 받고 있는 명씨의 공판 일정과 경남도 국감 일정이 겹쳐 증인 출석이 불투명했다.
하지만, 재판부가 당일 재판 일정을 오전 10시에서 오후 2시로 연기함에 따라 국감 출석이 가능해졌다. 명 씨도 지난 16일 재판에 출석하며 "국회가 부르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경남도의 국정감사에 명 씨가 출석한다면 박 지사에게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여당을 중심으로 명씨와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캐물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난 2022년 6월 지방선거와 관련해 공천 개입 의혹을 비롯해 경남도 출자출연기관이 운영하는 기숙사 남명학사의 명씨 처남 채용 경위, 창원 제2국가산단 관여 의혹 등을 놓고 공방이 전망된다.
박 지사는 명씨의 공천 개입과 처남 채용 청탁 의혹 등이 불거질 때마다 "사실과 다르다"며 여러 차례 부인했었다. 명씨는 지난 23일 서울시를 상대로 한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오세훈 시장을 저격하는 발언을 쏟아냈다.
이와 함께 지난 3월 산청에서 하동으로까지 번진 대형산불과 관련해 진화 대처가 적절했는 지 등에 대한 질의가 예상된다. 당시 산불로 진화대원·공무원 4명이 숨지고 287억 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또, 지난 7월 산청 등 서부경남을 중심으로 극한호우가 내려 산사태 등으로 15명이 숨지거나 실종되고, 5177억 원의 재산피해가 난 재난과 관련해서도 주민 대피 체계와 대응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정부의 '5극 3특' 전략과 대비되는 부산경남 행정통합, 부산항만공사 명칭 문제, 낙동강 맑은 물 공급 등도 주요 현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