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9 이태원 참사 당시 용산구청의 초동 보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정부 감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사고 발생 시각 용산구청 당직 근무자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판하는 내용의 담벼락 전단지 제거 작업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무조정실 '10.29 이태원 참사 합동감사' 결과에 따르면, 2022년 10월 29일 참사가 발생 시각인 오후 10시 15분쯤 서울 용산구청 상황실 근무자 5명 중 2명은 구청장이 지시한 것으로 보이는 전쟁기념관 인근 담벼락 전단지 제거 작업을 하고 있었다.
이들 중 1명은 재난관리 담당자였다. 해당 작업은 당일 오후 9시 15분쯤부터 오후 11시 30분쯤까지 이뤄졌다. 용산구청장 공소장 등에 따르면 해당 전단지에는 윤 전 대통령을 비판하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압사와 관련한 첫 보고도 사고가 발생한 지 1시간여가 지난 후에야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상황실에서 내근하고 있던 다른 직원은 오후 10시 29분쯤 서울종합방재센터로부터 압사 사고 관련 전화를 받았지만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오후 10시 53분쯤 행정안전부로부터 사고 전파 메시지를 받고 약 30분 뒤인 오후 11시 21분쯤 안전건설교통국장에게 상황을 보고했다.
당시 구청장은 오후 10시 51분쯤 상인회를 통해 사고 상황을 인지했다. 부구청장도 오후 11시 12분쯤 서울시를 통해 사고 상황을 들었다. 상황실 근무자가 5명이나 있었음에도 구청장과 부구청장은 구청 보고 체계를 통해 사고를 인지하지 못했다.
초기 대응체계를 신속하게 만들지 못하면서 사고 수습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참사 발생 직후 용산구청의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며 "총체적 부실 대응이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