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단 규정 첫 기준안 채택… '분별의 기준' 세운다

계시론·성경론·신론·인간론·기독론 등 조직신학 전반을 항목별로 정리
"서술식이 아닌 항목으로 돼 있어…일반 성도들도 활용 가능해"
"이대위협의회 회원 7~8개 교단, 내년 총회에서 헌의안 낼 것"




[앵커]

교단마다 달랐던 '이단 규정 기준'을 하나로 통일하는 움직임이 한국교회 안에서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단 규정의 혼선을 줄이고, 이단 단체에 대한 더 명확한 분별 기준을 세우기 위한 시도인데요.

한국교회 이단 대처의 새로운 출발점이 될지 주목됩니다.

장세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합신총회에서 채택한 한국 교회 이단 규정에 적용할 공동 표준안. 예장합신 이대위 제공

[기자]

한국교회의 이단 규정은 1915년 예장 총회가 안식교를 이단으로 공식 결의하면서 시작됐습니다.

이후 100년이 넘는 시간동안 15개 교단에서 120여 개 단체를 이단으로 규정해 왔습니다.

각 교단은 고유한 신학적 관점과 교리를 기준으로 이단 조사를 진행해왔는데 교단별 판단이 엇갈리는 일도 있어 이단 대처에 혼란이 있어왔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교단의 이단대책위원장들은 통일성 있는 기준을 세우는 공동작업에 나섰습니다.

'이단', '이단성', '사이비' 등 그동안 다양하게 사용돼 온 용어를 정비하고 '이단 규정 표준 기준안' 등을 마련했는데, 대한예수교장로회 합신총회가 이번 제110회 총회에서 처음으로 이단 규정 기준안을 공식 채택했습니다.

[인터뷰] 유영권 목사 / 예장합신 이단대책위원장
"어떤 상황이나 환경에 따라서 다른 잣대로 규정하는 게 아니라 이미 공유하고 있고 가지고 있는 기준에 의해서 하는 것이니까 그 규정이 굉장히 일관성이 있을 것이다. 교회 안에는 다툼이, 논쟁이 작아질 것이고 교회 바깥에 이단 집단에 대해서는 그들이 무엇이 오류인지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그러한 계기가 될 것이고…"

기준안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각 교단의 교리문답서 등을 토대로 계시론·성경론·신론·인간론·기독론 등 조직신학 전반을 항목별로 정리했습니다.

직통 계시를 주장하는지, 특정 번역본만을 유일한 성경으로 주장하는지, 예수님이 아닌 다른 중보자를 제시하는지 등의 내용이 포함되는데 성도들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큽니다.

[인터뷰] 유영권 목사 / 예장합신 이단대책위원장
"이 표준안이 복잡하게 서술식으로 되어있지 않고 단순하게 항목으로 돼 있거든요. 따라서 이러한 내용의 표준이 일반 성도들에게도 쉽게 가지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성도들 자체가 단순하게 이건 잘못이구나, 이건 오류가 있구나 이것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갖게 되는 거죠."

합신총회를 시작으로 다른 주요 교단들도 내년 정기총회에서 표준안 채택을 논의할 전망입니다.

[전화인터뷰] 한익상 회장 / 한국교회이단대책위원장협의회
"지금 아마 각 교단에서 헌의안은 다 낼 걸로 알고 있고 7~8개 교단은 하지 않겠나 싶어요, 이단대책위원장협의회 들어와 있는 회원교단들은. (통과되면 이단 규정 시) 같이 흐름을 맞춰서 가지 않겠나 생각이 됩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기준안이 교단별 신학적 판단의 공통분모를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평가합니다.

기준안 채택이 이단 규정의 신뢰를 높이고 교단의 경계를 넘어 신앙의 본질을 지키기 위한 이단 분별의 기준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CBS뉴스 장세인입니다.

[영상 기자 정용현] [영상 편집 김영찬] [그래픽 박미진]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