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해마다 수백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하고 있지만 종자 국산화율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시)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종자 국산화율은 35.2%로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지난 5년간 1267억 원의 신품종 개발 연구예산을 투입했지만 주요 품목의 국산 종자 보급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같은 기간 해외에 지급된 종자 로열티는 총 436억 원에 이른다.
특히 2024년에만 로열티 85억 9천만 원을 지급했는데 이는 1년 전인 2023년 80억 3천만 원에 비해 7.0% 증가한 수치다. 로열티를 지급한 품목은 딸기와 버섯 , 장미 등 10개 품목이며 이들 품목의 평균 종자 국산화율은 35.2%로, 전년 대비 0.8%p 하락했다.
화훼 분야의 국산화율은 전체 품목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카네이션의 경우 2022년 2.7%였던 국산화율이 지난해에는 국산 품종이 단 한 송이도 재배되지 않았다. 장미(23.8%)와 난(15.2%)의 국산화율도 전년 대비 각각 7.4%p, 5.3%p 감소했다.
이 같은 결과는 수입 종묘 의존도가 심화되고 콜롬비아 등 주요 화훼 수출국과의 FTA 체결 이후 국내 종묘업체의 시장 경쟁력이 크게 약화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어기구 의원은 "종자주권이 흔들리고 있다"며 "종자 산업은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히는 만큼 국산 품종개발이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와 연구개발의 내실화가 절실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