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출입기자단을 대상으로 생방송 등이 가능한 '오픈 스튜디오'를 개방하기로 했다.
대통령실 김남국 디지털소통비서관은 22일 브리핑을 통해 "출입기자단의 콘텐츠를 개선하고, 정책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라이브 스튜디오를 개방해 운영하고자 한다"며 "희망자에 한해 고정프로그램을 방송할 수 있고, 콘텐츠 세부 내용은 출입기자의 자율"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내에 마련되는 스튜디오는 당초 '디소 브리핑(디지털소통 브리핑)'으로 불리는 대통령실 자체 프로그램에 활용하기 위해 마련됐는데, 이를 개방한 것이다.
김 비서관은 "정부부처에서 했던 여러 프로그램의 조회수, 홍보효과가 저조했다"며 "고민하던 차에 저희가 직접 방송도 하지만 플랫폼 역할을 하면 어떨까 고민을 했고, 국정홍보의 패러다임을 바꿔서 '국정홍보 플랫폼' 역할을 하고, 많은 취재 내용들을 이야기할 공간 자체를 만들어주면 오히려 그것이 홍보효과를 많이 가져오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디소 브리핑 "방송을 일주일에 3번 한다고 하더라도 3시간밖에 활용하지 않는다. 죽어있는 공간이 있으니 활용해보자는 차원에서 기획했다"며 "이재명 정부의 국정철학이 '국민주권정부'이고 핵심 가치가 투명성, 개방성에 있기 때문에 그런 차원에서 기획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에서는 음향과 카메라, 조명 등 라이브 송출을 위한 최소한의 기술 인력도 지원하기로 했다.
방송 송출은 개별 언론사 채널로 하게 되며, 원할 경우에는 김 비서관의 개인 유튜브 채널인 김남국TV로도 송출이 가능하다.
출입기자가 대통령실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게 될 경우 검열이나, 대통령을 비판하는 내용의 콘텐츠 제작 시 마찰 등에 대한 우려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헌법은 검열을 허용하지 않는다. 검열하면 제가 처벌될지 모른다"며 "방송 녹화가 아닌 라이브를 하게 되면 실시간 방송 내용을 예측해 검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대통령실에서 실무하시는 분들을 많이 출연, 섭외하실 수 있도록 중간에서 역할을 하려 한다"며 "많은 분들께서 라디오 방송에 나가시는데, 대통실에서 직접 방송을 한다, 인터뷰를 한다고 하면 시간적·공간적으로도 절약되고, 편하게 인터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기대했다.
대통령실은 현재 용산에서 청와대로의 이전 이후에도 스튜디오를 지속 운영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