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장어의 CITES 부속서 Ⅱ 등재 저지 위한 대응 전략은?

해수부, 10월 23일 부산서 '제3차 실뱀장어 자원관리 민·관 협의체 회의' 개최
뱀장어 종의 CITES 등재될 경우 양만업계 등 피해 클 듯
협의체 회의서 제20회 CITES 총회 대응전략 최종 논의키로

해양수산부. 연합뉴스

오는 11월 24일부터 우즈베키스탄에서 열릴 예정인 제20회 CITES 총회를 앞두고 뱀장어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 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Ⅱ에 등재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대응 전략이 집중 논의된다.

뱀장어의 CITES 부속서 Ⅱ 등재가 이뤄질 경우 뱀장어의 수입과 수출 규제가 강화돼 실뱀장어 입식량의 80% 가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양만업계 등 관련 업계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오는 10월 23일 부산에서 '제3차 실뱀장어 자원관리 민·관 협의체 회의(이하 협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민·관 협의체는 실뱀장어 자원관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 전문가, 업계를 중심으로 지난 5월 구성됐다.
 
협의회에는 해양수산부와 국립수산과학원, 지자체, 수협중앙회, 한국수산자원공단, (사)한국민물장어생산자협회,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관측센터 등 관계기관과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정부는 그동안 협의회를 중심으로 업계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뱀장어 종의 CITES 부속서 Ⅱ 등재에 대한 반대 입장과 과학적 논거 등을 마련했다.
 
또 극동산 뱀장어 종을 양식에 활용하는 동북아국가들과 공동 대응하기로 합의하고 등재 반대를 위한 우호국을 확보하는 등 외교 역량을 집중한 결과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자문단에서는 뱀장어 전체 종을 CITES 부속서 Ⅱ에 등재하는 것은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특히 해양수산부는 외교부와 협력해 지난 9월 30일 장관 명의의 외교 서한을 CITES 회원국에 송부했고 현지 대사관을 통해 등재 반대에 지지해 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뱀장어 종의 CITES 등재 동향과 그간 정부의 대응 노력을 업계, 전문가 등과 공유하고 총회 대응전략을 최종적으로 논의한다.

회의 중 '현장용 신속 종판별 키트'의 시연도 선보일 예정인데 해당 키트는 극동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를 20분 이내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으로 국립수산과학원이 개발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유럽연합(EU) 등은 유럽산과 타 지역 종의 구별이 어렵다는 이유로 지난 6월 뱀장어 전체 종을 CITES 부속서 Ⅱ에 등재하자는 제안서를 제출한 상황에서 해당 키트가 이를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과학적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수산부는 키트 관련 자료를 CITES 사무국과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자문단 등에 제출했고 장관 명의 서한에도 첨부하는 등 회원국에게 적극 알리고 있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CITES 등재 여부와 무관하게 극동산 뱀장어 자원 관리 및 양식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양식장 실뱀장어 입식량 관리, 자원회복 방안 등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2024년 뱀장어 양식장은 614곳으로, 1만 6천 톤(5139억 원)이 생산된 것으로 집계됐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실뱀장어는 국내 내수면 양식산업의 핵심 자원인 만큼 민·관 협의체를 통해 CITES 부속서 Ⅱ 등재 논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자원관리 체계도 구축해 나가겠다"며 "이번 논의 결과를 토대로 방류효과 조사, 유전자 기반 종 판별 기술 보급 등의 후속 정책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