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이번달 만료를 앞둔 한국과의 통화스와프 재추진에 나서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2일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 매체는 이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판궁성 총재가 최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세계은행(WB)·국제통화기금(IMF) 연차총회' 기간 중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와 만나 통화스와프 문제를 논의했다고 전했다.
이어 추가 논의가 이달 말 예정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의와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통화스와프 체결이 "중국이 위안화의 해외 사용 확대를 통해 달러 의존도를 낮추고, 동북아 3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하려는 장기 전략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지난 9월 말 기준 전 세계 32개국 중앙은행과 통화스와프를 체결하고 있으며, 총규모는 4조 5천억 위안(약 904조 4550억 원)에 달한다.
한국과 중국은 지난 2020년 10월 4천억 위안(약 80조 3880억원) 규모의 5년 만기 통화스와프를 체결했고, 이 계약은 이번달 만료된다. 중국과 일본은 2024년 10월 2천억위안(약 40조1천940억원) 규모의 3년 만기 통화 스와프를 체결한 상태다.
인민은행 거시건전성감독국의 한 관계자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향후 통화스와프 협력 범위를 체계적으로 확대하고, 중국과 긴밀한 경제·무역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 및 지역과의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면서 "스와프 자금은 유동성 공급 확대와 무역·투자 촉진에 중점을 두고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