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해양경찰서 관할 해역이 높은 치안 수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여수서의 업무 과중을 분담하고, 전남 남해권 해역의 치안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고흥해양경찰서 신설' 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문금주 의원(전남 고흥 · 보성 · 장흥 · 강진, 더불어민주당)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해양경찰서 신설 필요성 및 효율화 모델 개발 연구'에 따르면, 여수서는 전국 해경서 중에서도 높은 수준의 해상 치안 수요를 기록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여수서 관할 해역은 조난사고 2 위, 선박사고 2 위, 선박 입출항 2 위, 범죄발생 1 위, 범죄검거 1 위, 해상교통 이용객 2 위로, 거의 모든 지표에서 전국 최상위권에 올랐다.
한편, 2019~2023 년간 발생한 해양 인명 사고는 사망자 305명, 실종자 123명, 부상자 1,593명이었다. 전체 사고의 64.9%가 어선사고였으며, 그 중 41.9%가 전남 해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전남 지역에 해양사고가 집중되는 상황에서, 여수 · 광양항이 북극항로의 거점 중 한 곳으로 활용될 예정이어서 치안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해양경찰청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목포 · 여수 · 제주 · 강릉 지역의 해양경찰서 신설 필요성이 검토됐다.
그러나 목포는 서해해경청이 소재하고 있으며, 경무관급 서장제 도입으로 대응이 가능하고, 강릉은 올해 3월 강릉해양경찰서가 개서했다.
결과적으로 여수서의 분서를 통한 치안 수요 분산이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문 의원의 설명이다.
문금주 의원은 "여수·광양항은 북극항로 시대의 거점으로, 향후 물동량과 선박 통항량이 증가할 지역"이라며, "지금의 체계로는 늘어나는 해상사고에 대응하기 어렵고 사고는 늘고 구조는 늦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문 의원은 "전남 남해안권의 치안 수요가 높은 만큼, 고흥해양경찰서 신설을 통한 여수해경서 분서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고흥서는 남해권 해상 구조 · 수색 · 방재를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인 만큼, 정부는 더 늦기 전에 고흥서 신설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