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금주 의원, 여수해경 관할 해역 사고 많아 "고흥서 신설 시급"

문금주 국회의원. 문금주 의원실 제공

여수해양경찰서 관할 해역이 높은 치안 수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여수서의 업무 과중을 분담하고, 전남 남해권 해역의 치안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고흥해양경찰서 신설' 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문금주 의원(전남 고흥 · 보성 · 장흥 · 강진, 더불어민주당)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해양경찰서 신설 필요성 및 효율화 모델 개발 연구'에 따르면, 여수서는 전국 해경서 중에서도 높은 수준의 해상 치안 수요를 기록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여수서 관할 해역은 조난사고 2 위, 선박사고 2 위, 선박 입출항 2 위, 범죄발생 1 위, 범죄검거 1 위, 해상교통 이용객 2 위로, 거의 모든 지표에서 전국 최상위권에 올랐다.
 
한편, 2019~2023 년간 발생한 해양 인명 사고는 사망자 305명, 실종자 123명, 부상자 1,593명이었다. 전체 사고의 64.9%가 어선사고였으며, 그 중 41.9%가 전남 해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전남 지역에 해양사고가 집중되는 상황에서, 여수 · 광양항이 북극항로의 거점 중 한 곳으로 활용될 예정이어서 치안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해양경찰청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목포 · 여수 · 제주 · 강릉 지역의 해양경찰서 신설 필요성이 검토됐다.
 
그러나 목포는 서해해경청이 소재하고 있으며, 경무관급 서장제 도입으로 대응이 가능하고, 강릉은 올해 3월 강릉해양경찰서가 개서했다.

결과적으로 여수서의 분서를 통한 치안 수요 분산이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문 의원의 설명이다.
 
문금주 의원은 "여수·광양항은 북극항로 시대의 거점으로, 향후 물동량과 선박 통항량이 증가할 지역"이라며, "지금의 체계로는 늘어나는 해상사고에 대응하기 어렵고 사고는 늘고 구조는 늦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문 의원은 "전남 남해안권의 치안 수요가 높은 만큼, 고흥해양경찰서 신설을 통한 여수해경서 분서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고흥서는 남해권 해상 구조 · 수색 · 방재를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인 만큼, 정부는 더 늦기 전에 고흥서 신설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