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오는 10월 23일부터 이틀간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과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2025년 수산생물 전염병 도상(모의)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최근 기후변화와 글로벌 교역 확대 등으로 외래 전염병 유입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양식업계를 비롯한 수산업 전반에 대한 방역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전염병 발생 시 초동 대응 속도를 높이고 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2024년부터 수산생물 전염병 도상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의 진행으로 새우의 간·췌장이 괴사하는 급성간췌장괴사병, 잉어의 아가미 괴사와 장내 출혈 등을 일으키는 잉어봄바이러스병 등 법정 전염병이 발생한 상황을 가정해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적용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는 방역 지휘와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은 역학조사와 상황 전파를, 지방자치단체는 최초 의심신고와 현장 대응을 담당한다.
해수부는 이번 훈련을 통해 예찰·진단, 살처분, 이동 통제 등 방역 절차를 종합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 홍래형 수산정책실장은 "수산생물 전염병은 초기 대응이 피해 규모를 좌우하는 만큼 사전 대응 훈련이 무척 중요하다"며 "이번 훈련을 통해 현장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는 대응 역량을 확보하고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체계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