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대청부채 보전을 위해 자생지가 위치한 태안해안국립공원 무인도에 복원 사업을 펼친다고 21일 밝혔다.
대청부채는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오후 3시경 보랏빛 꽃이 피고 저녁에 해가 지면 다시 꽃잎을 닫는 특성이 있어 일명 '꽃시계'라고도 불리는 식물이다.
매일 오후 3시쯤 개화하는 이유는 수분매개 곤충(꿀벌 등)의 활동 시간에 맞춰 수분 효율을 높이고, 같은 속의 다른 붓꽃류와 개화시간을 달리해 교잡을 방지하기 위한 진화적 메커니즘 때문으로 알려졌다.
개체군 규모가 작고 가축 방목 등 위협으로 2005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됐으며, 인천 대청도·백령도와 충남 태안군 섬지역 바위지대에 극히 제한적으로 자생한다.
공단은 2013년 태안해안국립공원 무인도에서 대청부채 자생지를 확인한 이후 복원 연구에 착수, 2018년 인공증식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이를 토대로 2019년 100개체를 복원(생존율 82%)했고, 지난 17일 주변 서식지에 100개체를 추가로 복원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복원은 기존 자생지가 훼손되는 경우를 대비한 복원으로, 대청부채의 안정적인 보전 여건을 마련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공단은 전했다. 학계, 지자체, 민간단체 등과 협력해 생육환경 개선, 불법 채취 예방 등 종합적인 보전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