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하늘 아래 미세먼지 성격은 다 달랐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주요 도시의 미세먼지의 화학 시료를 분석해 공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은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박상서 교수팀이 전 세계 14개 도시에서 수집한 미세먼지 화학 시료와 광학 데이터를 분석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진팀에 따르면 서울의 초미세먼지는 황산염·질산염 비중이 높아 태양 빛을 강하게 산란시키는 '반사형' 성격을 띠었다.
멕시코시티는 그을음 성분(블랙카본)이 상대적으로 많아 빛을 강하게 흡수하는 '흡수형' 특성이 두드러졌다.
같은 초미세먼지라도 서울은 햇빛을 우주로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효과가 있었다. 멕시코시티는 태양 에너지를 흡수해 지구 온난화를 가속하는 효과를 냈다.
연구팀은 서울과 베이징, 멕시코시티 등 전 세계 14개 도시에서 채집한 시료의 화학 성분 자료와 광학 데이터 자료(AERONET)를 비교 분석했다.
AERONET은 햇빛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얼마나 흡수되고 산란되는지를 지상에서 측정할 수 있는 자료 데이터망이다.
이를 통해 대기가 얼마나 뿌연지 알 수 있어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황산염·질산염처럼 빛을 산란시키는 성분 비율이 높을수록 단일산란알베도(SSA) 값이 커졌다.
단일산란알베도는 공기 중 입자가 들어온 빛을 얼마나 반사(산란)하고 흡수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값이 1에 가까울수록 빛을 주로 반사하고 0에 가까울수록 빛을 흡수한다는 뜻이다.
반대로 블랙카본처럼 흡수성 성분이 많아질수록 SSA는 줄어들었는데 특히 파장이 긴 영역(870~1020nm)에서 그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 대기 중 흙먼지(미세토양)의 양이 많아질 때는 파장별 산란 특성이 급격히 변하는 모습도 확인됐다.
박상서 교수는 "광학 특성 데이터만을 이용해 미세먼지의 성분별 독성 차이를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했다"면서 "향후 대기질 예보, 보건 정책 수립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는 UNIST 동남권 미세먼지연구관리센터(센터장 송창근 교수)와 공동으로 수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