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사항을 놓고 이견차를 보였던 한미 무역협상이 곧 타결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15일(현지시간) "우리는 이제 한국과 협상을 마무리하려는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CNBC방송에서 '한국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양측간 이견이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악마는 디테일에 숨어있지만, 우리는 그런 디테일을 해결하고 있는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다만 베선트 장관은 양국간 이견차가 있는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현재 양국은 3,500억달러 대미 투자 패키지의 용처와 운영 방법 등을 놓고 서로 다른 생각을 갖고 있고, 여기다 한국은 대규모 달러화 조달에 따른 외환시장 안전장치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한미는 지난 7월 말, 큰 틀에서의 관세협상을 타결하면서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지만 대미투자금의 구성 및 방식에서 이견을 보이면서 공식 문서화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한미 무역 합의에 따라 한국이 미국에 투자하기로 한 금액 3,500억 달러에 대해 '선불'이라는 표현까지 쓰면서, 일본과의 합의처럼 '투자 백지수표'를 요구하고 있다.
평행선을 달리던 양측이 접점을 찾아가고 있다는 시그널도 나왔다.
조현 외교부장관은 지난 13일 국회에서 "미국 측에서 지금 새로운 대안을 들고 나왔고, 그것을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오는 16일 미국을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회담할 예정이다.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을 위해 이날 미국에 도착하는 구윤철 경제부총리도 베선트 장관을 만나 양국 협상을 측면에서 지원한다.
일각에서는 이달 말 열리는 경주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계기에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측이 무역 협상을 마무리 지을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