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 "박성재 영장 기각 납득 어려워"…尹은 진술 전면 거부

특검 "박성재 계엄 위법성 인식…공방 필요 없는 사실"
"법원의 판단 다시 받는 신속한 조치 취할 것"
윤석열, 진술 모두 거부…특검 "질문은 계속 진행"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를 방조·가담한 혐의를 받는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이 14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으로 들어서고 있다. 박종민 기자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해 구속영장 재청구 방침을 드러냈다.
 
내란특검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박성재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 기각은 장관의 직위, 헌법적 책무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할 때 납득하기 어렵다"며 "특검은 신속히 법원의 판단을 다시 받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검은 법원의 결정을 존중한다면서도 박 전 장관의 위법성 인식에 대해 다툴 여지가 있다는 법원의 판단에는 동의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박 특검보는 "피의자가 객관적 조치를 취할 당시 비상계엄의 위법성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은 다툼의 여지가 없어 공방의 필요가 없는 명백한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를 방조·가담한 혐의를 받는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이 14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으로 들어서고 있다. 박종민 기자

박 전 장관은 계엄 선포 이후 소집한 법무부 실·국장 회의 전후로 '계엄 합동수사본부에 검사 파견이 가능한지 검토하라'는 지시를 검찰국에 내리고 교정본부엔 수용 공간 확보를,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 출국금지팀을 대기하도록 한 혐의를 받는다.
 
또 박 전 장관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제외하고 12월 3일 비상계엄 당일 저녁 윤 전 대통령이 가장 먼저 직접 호출한 인물이다. 특검은 박 전 장관이 대통령실에 일찍 도착해 졸속으로 진행된 국무회의와 국무위원들의 만류를 지켜봤다는 점에서, 그가 '계엄의 불법성'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었다고 판단한다.
 
한편 이날 특검에 출석한 윤석열 전 대통령은 진술거부권을 행사하고 있다. 오전 10시 14분부터 진행된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은 인적 사항 확인부터 모든 진술을 거부했으며 영상 녹화에도 동의하지 않았다. 오전 11시 14분부터는 휴식을 요청해 조사가 잠시 중단됐다가 오후 1시 30분쯤 재개됐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의 진술 거부에도 질문을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박 특검보는 "진술을 거부하더라도 질문은 계속 진행되고 있다"며 "진술을 거부하더라도 조사의 실익은 있고 질문을 통해서 본인의 방어권을 충분히 보장했다는 것도 된다"고 설명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