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장 선 쯔양 "두렵고 막막했다"…'사이버레커 피해' 증언[영상]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방송미디어통신사무소 등 국정감사에 유튜버 쯔양(박정원)이 참고인으로 출석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먹방'의 대명사로, 1200만여 명의 채널 구독자를 보유한 유명유튜버 '쯔양'(28·본명 박정원)이 국회 국정감사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유명인들을 대상으로 허위사실을 유포하거나 악의적 이슈를 짜깁기해 수익을 올리는 유튜버를 이르는 '사이버레커' 관련 피해를 직접 증언하기 위해서였다.
 
정기국회 국정감사 이틀째인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한 쯔양은 "저 같은 피해자가 다시는 나오지 않길 바란다"며 입법부의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그는 "이 자리에 계신 의원님들과 전문가들이 꼭 사회에 필요한 제도를 만들어 주시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했다.
 
앞서 쯔양은 자신의 사생활 등을 빌미로 협박을 일삼은 사이버레커 '구제역' 등으로부터 수천만원을 갈취당하는 피해를 당한 바 있다. 그는 지난해 구제역 등 4명을 공갈 및 공갈방조 혐의로 고소했고, 수원지방법원은 지난달 항소심에서 구제역에게 징역 3년을 선고했다.
 
쯔양은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방미통위) 등을 대상으로 열린 이날 국감에서 "사실 제가 이 자리에 나와도 되는지 너무 걱정이 되고 무서웠다"며 "하지만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제도적 변화가 이뤄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용기를 냈다"고 '출석의 변'을 밝혔다.
 
그는 피해상황 당시를 돌이키며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만큼 굉장히 두렵고 아주 막막했다"고 말했다. 여성으로서 밝히고 싶지 않았던 사실들이 노출되는 것도 두려웠다고 했다. 

쯔양은 특히 "그들(가해자들)의 보복이 두려워 아무런 대응을 할 수 없었고, 소송조차도 할 수 없었다"며 "일반 시민이나 직장인, 학생 분들은 저보다 훨씬 대응이 어려울 것"이라고 부연했다.
 
막상 법적 대응에 나서도 생업 활동을 하며 관련 비용을 마련하긴 녹록지 않고, 정신적 피해로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상당수일 거란 취지다.
 
유튜브란 플랫폼의 '사후 대처' 또한 문제적이었다고 지적했다. 쯔양은 '유튜브가 이 문제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했는지'를 물은 국민의힘 최형두 의원의 질의에 "사실 쉽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며 "영상 확산 속도는 굉장히 빠르고, 하루 만에 수십 만 명이 보기 때문에 이미 영상을 보고 나서는 아무리 지워지는 절차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오해를 풀기가 굉장히 어려웠다"고 토로했다.
 
영상을 신고해도 실제 삭제 조치까지는 하세월이 걸렸다고도 했다. "보통 짧게는 1주일에서 길게는 아예 지워지지 않았던 영상들도 있다"는 게 쯔양의 증언이다.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악플'(악성 댓글)의 폐해를 온몸으로 겪은 당사자로서 간곡한 당부도 남겼다. 쯔양은 "인터넷에서 누군가에게 글을 남길 때는 그 상대방도 감정이 있고, 똑같이 기쁨과 슬픔을 느끼는 사람이라는 걸 한 번만 꼭 생각해달라"며 "댓글이나 게시글을 쓸 때 그런 점을 잊지 말아주시길 바란다"고 힘주어 말했다.
 
쯔양의 법률 대리를 맡고 있는 김태연 변호사도 현재 사이버레커들에 대한 처벌은 대개 '벌금 500만 원 수준'인 데 반해, 이들이 악성 콘텐츠로 얻는 광고·슈퍼챗·구독 수익은 훨씬 크다는 점을 지적했다. 경제적 유인이 큰 만큼, 현행법상 처벌로는 실효성 있는 억지력을 확보하기 부족하다는 의미다. 

실질적으로 사이버레커의 가해 행위를 제재할 수 있는 법령 제정이 시급하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과방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은 쯔양을 향해 "오늘 용기 있게 나와 주셔서 정말 감사드린다"며 "그 용기에 저희가 부응해서 앞으로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 이번 정기국회 내 관련 입법을 반드시 해낼 것"이라고 약속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