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가 내년도 정부예산의 국회 증액 등 국비 확보를 위한 총력전에 돌입했다.
새 정부 첫 예산이 향후 5년 동안의 국비 확보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가용 가능한 지역의 역량을 총동원한다는 방침이다.
14일 충북도에 따르면 새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에 빠진 도의 주요 현안은 모두 27개 사업, 2천억 원 가량이다.
청주국제공항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5억 원), 미호강 준설사업(5억 원), K-싱크로트론밸리 조성(5억 원), 국립 숲길복합 클러스터 조성(37억 원) 등 지역의 핵심 성장 동력이 될 사업들도 대거 포함됐다.
특히 오송 K-바이오스퀘어의 기반이 될 카이스트 부설 AI 바이오 영재학교 설립(147억 원)과 국립노화연구소 설립(3억 원), AI 바이오 데이터센터 구축(100억 원), R&D 임상병원 설립(5억 원) 등도 국비 확보에 실패했다.
더 큰 문제는 이달 말부터 연말까지 진행될 국회 예산 심사 과정에서 증액이 이뤄지지 않으면 당장 사업 지연 등 차질은 물론 장기 표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충북도 이복원 경제부지사는 "새 정부 첫해 사업이 향후 5년 동안의 사업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며 "도정의 핵심 성장동력과 직결되는 만큼 미래 전략 산업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비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 부지사는 취임 나흘 만이 지난 달 18일 대통령실을 시작으로 불과 한 달 새 국회와 정부부처, 지방시대위원회와 유관기관 등 무려 10여곳을 찾아 현안 지원을 요청하는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오는 15일과 17일에도 국비 확보 요청을 위해 각각 지방시대위원회와 중앙부처를 차례로 방문할 예정이다.
충북도도 오는 23일까지 도.시군 전략 공유, 국회 대응전략 등 연이어 5차례의 점검회의를 열어 전방위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당장 이날 공모사업 추진 상황 보고회를 열어 추진 상황과 대응 계획을 점검했으며, 오는 15일에는 도·시군 정부예산 확보 전략 워크숍를 통해 주요 현안 사업을 공유하고 공동 대응 전략을 논의한다.
이어 16일에는 정부예산 국회 증액 대응 전략보고회를 진행해 주요 증액 대상 사업별 대응 방안을 구체화하고, 17일에는 류승수 기획재정부 재정 분석 과장을 초청해 실무 특강을, 23일에는 신규 사업 발굴 추진협의체 회의도 연다.
또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정부 부처와 국회를 상대로 설득 작업에 나서는 한편 도내 8명의 국회의원과 지역 연고 의원들에게 협조를 요청하는 등 정치권과의 공조 체계도 강화하고 있다.
새 정부의 지역 홀대론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충청북도가 국회 예산 증액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