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의 경제성장 기조와 연계해 민생경제 회복과 미래성장 산업을 동시에 추진하는 제주도 경제성장 전략이 발표됐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14일 도청 기자실에서 4대 전략과 18개 중점과제를 내용으로 한 '제주 경제성장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알찬 성장'을 비전으로 한 이번 전략은 △맞춤형 민생경제 활력 △인공지능(AI)·디지털 혁신경제 △탄소중립·청정에너지 선도경제 △지속가능 제주형 경제로 구성됐다.
민생경제의 어려움을 해소함과 동시에 미래 먹거리인 우주산업과 바이오 등 신산업도 적극 추진한다는 것이다.
우선 고금리·고물가·부동산 침체 등 복합 경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민생경제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
서민과 소상공인의 금융 부담을 덜기 위해 내년에는 1조원 규모의 저금리 융자지원을 하고 이자차액 보전과 금융복지상담센터 운영을 확대하는 한편 신용대출이 어려운 중소건설업체에도 저금리 특별신용보증을 지원한다.
지역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주시 원도심과 서귀포시 이중섭거리 등 2곳을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해 5년간 100억 원을 지원하고 골목형상점가를 내년에는 20곳까지 확대한다.
제주 지역화폐인 '탐나는전'은 내년부터 3년간 1조 5000억 원을 발행하고 간편결제와 큐알(QR) 등 결제방식도 다각화한다.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서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149㎡·6억 원 이하)을 취득하면 세율을 대폭 인하하고 무주택자와 제주 이주자가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거나 실거주하면 세제 감면·금융 우대·이사 지원 등을 패키지로 제공한다.
청년·노인·장애인 등 세대별·직종별 맞춤형 일자리 지원도 강화해 내년 노인 일자리는 10.3% 확대하고 청년동행 일자리우수기업도 선정한다.
민생회복 경제 정책과 더불어 미래 성장 산업도 집중 육성하고 디지털 전환을 통한 인공지능 기반 행정·산업·도시 시스템 고도화에도 나선다.
내년부터 5년간 200억 원을 투입해 도서형 기후·해양 재난 인공지능 전환 실증을 추진하고, 행정데이터를 학습한 '가칭 AI 행정비서' 데모 서비스를 올해 12월 시연한다.
또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회발전특구와 연계한 하원테크노캠퍼스 도시첨단산업단지를 2028년까지 조성하고, 한화시스템을 앵커기업으로 위성 생산에서 해상 발사까지 이어지는 독자적 공급망을 구축한다.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지상시스템 유치와 위성정보 활용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에도 적극 나선다.
관광형 도심항공교통(UAM)의 전국 최초 상용화를 위한 제도 기반을 마련하고, 자율주행은 대중교통형·관광셔틀형·화물운송형으로 구분해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주거·의료·복지·헬스케어가 융합된 시니어 주거단지를 구축하고, 유전체 정보·의료정보·생활 데이터를 결합한 헬스케어 인공지능 예측·진단·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린수소는 현재 11㎿ 실증사업을 향후 최대 100㎿급 시범사업으로 확대한다. RE100 수소생산시설 준공과 수소특화단지 연계 대규모 수소생산시설 예타 추진 등으로 생산 인프라를 확장하고, 서귀포와 제주시 지역 신규 수소충전소 구축으로 보급 인프라를 확충해 내년부터 민간 수소모빌리티 보급을 본격 시작한다.
전기차는 2035년까지 50.1%, 2040년까지 100% 보급을 목표로 해 2040년부터는 내연기관 차량 신규 등록과 판매를 단계적으로 중단한다.
공공-민간 협력형 풍력개발 모델을 통해 주민참여형 이익공유제를 설계하고,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채권형·지분형·펀드형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확대한다.
가파도는 국내 최초 탄소중립 실현 선도 모델로 삼아 재생에너지 생산·저장·사용 전 분야 전력 생태계를 조성하고, 인공지능 분산형 차세대 전력망을 구축한다 .
디지털 자산 산업 기반 구축을 위해선 스테이블코인 기반 지역화폐 실증 국가 공모사업을 추진하고, 토큰증권 분야 법제화에 대비해 제주지역 토큰증권 기반 신사업 발굴 등 사업화 전략을 마련한다.
물류체계 혁신을 위해서는 제주-중국 칭다오 항로 본격 운항, 국제항로 연계 물류 체계 전환, 해상운송 화물 공적기능 도입, 스마트공동물류센터 조성·운영 등을 추진한다.
오영훈 지사는 이번 전략을 통해 중앙정부의 거시정책과 지역 특성을 결합한 실행 모델을 구축하고 민생 안정과 미래 대비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