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2명 중 1명꼴(53.5%)로 거주지 인근의 자연환경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울산(64.7%), 경남(63.6%), 세종(61.5%), 제주(59.2%), 강원(58.7%) 순으로 자연환경 만족도가 높았다.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이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에 거주하는 성인 7106명을 대상으로 올해 4월 25일부터 5월 20일까지 진행한 '2025년 생태계서비스 국민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s)란 자연 생태계가 인간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말하며, 서비스 종류는 ①공급서비스(식량, 목재) ②조절서비스(온실가스 조절, 대기·수질 정화) ③문화서비스(여가, 휴양) ④ 지지서비스(생물 서식처 제공 등)로 구분된다.
거주지 인근 자연환경에 얼마나 만족하느냐는 질문에 △만족(21.7%) △조금만족(31.8%) △보통(33.8%) △조금 불만족(9.9%) △불만족(2.8%) 응답이 나왔다.
지난해 만족도가 46.8%였던 울산은 올해 만족도가 대폭 상승해 1위를 차지했다. 울산은 과거 수질오염이 심각했던 태화강이 친환경 생태하천으로 복원돼 멸종위기종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게 된 데다, 최근 태화강 국가정원이 2028년 국제정원박람회 대상지로 선정되는 등 복원 및 보전의 성과가 나타나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고 기후부는 전했다.
그 외 경남, 세종, 제주, 강원 지역은 지난해에 이어 만족도 조사 5위권을 유지했다.
식량·물 제공…탄소 저감 요구도 높아
거주지 주변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생태계서비스는 '식량 및 물 등의 제반요소 제공(26%)'이었고, 다음으로 '탄소 저감(24%)', '공원·산림 등 자연공간 이용(16%)' 순으로 나타났다. '식량 및 물 등의 제반요소 제공'은 지난해 4위에서 1위로 상승(14→26%)했는데, 이는 설문조사 직전에 발생했던 경북 및 경남 지역의 대형 산불로 인한 영향으로 분석됐다.
자연환경을 얼마나 방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주 1회 이상' 방문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42%로 나타났다.
걸어서 자주 방문하는 자연환경이 거주지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에 대해선 올해 처음으로 조사가 이뤄졌는데, 300m(약 5분) 이내가 35.5%, 500m(약 8분) 이내 59.5%, 1㎞(약 15분) 이내 83.1%로 나타났다.
자연형 하천 조성 등 생물다양성 증대를 위한 서식지 복원과 보전 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37.3%로 2022년 비해 11.9%p 상승했으며, 외래종 침입 등 생물다양성과 서식 환경을 위협하는 요인에 대한 정책적 대응에 대한 만족도는 35.6%로 2022년 비해 9.6%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설문조사 기관에 의뢰해 온라인 패널조사 방식으로 수행했으며, 표본오차는 ±1.16%P(95% 신뢰수준)이다.
김태오 자연보전국장은 "생물다양성 보전은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한 해법이자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반"이라며 "이번 조사를 통해 파악된 국민의 수요와 선호를 바탕으로 생물다양성 정책을 수립해 자연의 혜택에 대한 국민의 체감도를 높여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