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참사 추모조형물 설치 예산을 전액 삭감했던 충청북도의회에 대한 비판이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뒤늦게 추가 공론화 과정에 나서기는 했지만 장소를 둘러싼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여전히 안개 속에 빠져 있다.
이상정 충청북도의원은 13일 429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지난 회기 추모 조형물 예산을 삭감한 저를 포함한 도의회는 통렬한 자성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같은 회기에 10억 원이 넘는 다른 사업 예산은 부활시키면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액수인 5천만 원의 추모 조형물 예산은 끝내 삭감시키고 말았다"며 "오직 유가족과 도민의 목소리를 존중해 3회 추경에서 예산을 확정해 해를 넘기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가족들이 이미 도청 내 설치에 동의했는데, 도의회가 혐오시설로 취급하며 예산을 삭감한 것은 도저히 납득될 수 없다는 얘기다.
이처럼 비판 여론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으면서 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도 14일 유가족 간담회를 열고 추모조형물 설치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양섭 의장이 지난 달 22일 오송참사유가족협의회, 시민사회단체와 간담회에서 "지금부터라도 의회가 유족과 대화를 가지는 시간을 갖겠다"고 밝힌 데 따른 후속 조치이다.
다만 도의회 안팎에서는 도청 내 설치에 대한 부정 여론이 계속되고 있어 설치 장소를 둘러싼 이견을 좁힐 수 있을 지는 아직까지 미지수이다.
더욱이 도의회는 최근 '국가적 추모 사업'을 건의하고 나서면서 "책임을 엉뚱한 곳에 넘기려 한다"는 유가족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오송참사 추모조형물 설치는 다음 달 심의되는 3회 추가경정예산이나 내년도 본예산에 재반영되지 못하면 사실상 무산될 수밖에 없는 위기에 몰려 있다.
도의회 조성태 대변인은 "유족 간담회 등을 통해 조만간 장소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다만 내년 지방선거 등의 일정을 감안할 때 본예산에도 예산이 반영되지 못하면 12대 의회에서는 처리가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충청북도의회가 뒤늦게 나마 오송참사 추모조형물 설치를 위한 공론화 과정에 나서면서 당분간 논란은 계속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