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한국이 약속한 '美 조선업 부활'에 오랜 시간 필요할 듯"

연합뉴스

한국이 미국의 조선업 부활을 돕겠다고 약속했으나 미국 현지 여건상 오랜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라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는 한화그룹이 만들 미국 선적 선박 12척 가운데 미국산 천연가스를 아시아와 유럽으로 운반할 대형 LNG 운반선 2척은 거의 모든 건조 작업이 한국 거제에서 이뤄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화그룹이 작년에 1억달러(1400억 원)에 인수한 미국 필라델피아 소재 한화 필리조선소에서는 이 LNG 운반선들이 미국 법과 미국 해양안전기준을 준수하도록 점검하고 보완하는 작업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는 한화 필리조선소가 아직 복잡한 대형 선박 건조를 할 역량을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WSJ는 설명했다.

최근 10년간 미국에서 이보다도 더 단순한 LNG 운반선을 건조하려는 시도들이 있었으나 공기 지연과 비용 초과 사태를 겪었다.

대양을 건널 수 있는 선박을 미국에서 건조하려면 요즘은 한국이나 중국에서 하는 경우보다 비용이 4배 내지 5배가 더 든다는 게 WSJ의 설명이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미국 조선소들이 100만명이 넘는 인원을 고용했으나 그 후 수십년간 미국의 선박 건조 물량이 감소해 요즘은 미국 내에 대형 조선소가 몇 곳밖에 남아 있지 않고 그 일감 중 대부분은 미국 해군 군함의 건조 및 수리 작업이다.

한화그룹이 세운 미국 소재 해운사 '한화쉬핑'의 라이언 린치 CEO는 시간이 흐르면서 기술과 숙련이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전됨에 따라 한화그룹의 선박 건조에서 한화필리조선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날 것이라고 한 인터뷰에서 말했다.

한화그룹이 최근 수주한 조선 물량 12척 중 미국 항구들 사이를 오갈 중형 유조선(MR탱커) 10척은 한화 필리조선소에서 만들어질 예정이다. 비용은 매우 비싸다.

WSJ가 전한 전문가들의 얘기에 따르면 필라델피아에서 탱커를 건조하는 비용은 2억2천만 달러(3100억 원)를 넘어설 수 있으나, 중국이나 한국에서 만들 경우 약 4700만 달러(670억 원)로 가능하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