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고령화의 영향으로 한때 성인 연령대 중 가장 많았던 20대 인구가 70대 이상 노령층 인구보다 적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인구는 1년 전보다 19만3천명 줄어든 630만2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70대 이상 인구 654만3천명보다 적은 것으로, 20대 인구가 70대 이상을 밑돈 것은 1925년 통계 집계 이후 처음이다.
10세 미만이 19만2천명 줄었고 40대가 16만9천명 줄었는데 감소 폭으로는 20대가 전 연령대 중 가장 컸다.
20대 인구는 2020년 703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해마다 14만~21만명 감소하는 등 4년째 감소하고 있다.
또 30여년 전 전 연령대 중 가장 인구가 많았던 20대가 사상 처음으로 성인 연령대 중 인구가 가장 적은 세대가 됐다.
지난해 인구를 연령별로 보면 50대가 871만3천명으로 가장 많고 40대 780만9천명, 60대 779만1천명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