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훈 행안위원장, "농식품부 전남 이전은 지방소멸과 농업위기 해법"

"전남도민의 추석민심 전합니다…정부의 신중하고 적극적인 검토 요청"

국회 행정안전위원장 신정훈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화순)은 1일 국회 인사청문회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현안질의를 마친 후, 2일 추석 연휴 첫 일정으로 순천 아랫장을 찾아 상인들과 시민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었다. 신 의원실 제공

국회 행정안전위원장 신정훈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화순)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전남 곳곳을 돌며 들은 민심을 전하며, 정부에 농림축산식품부의 전남 이전을 신중히 검토해 달라고 촉구했다.
 
신 위원장은 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전남도민들께서는 '내란세력을 뿌리뽑는 것이 진짜 대한민국의 최대 과제'라고 강조했다"며 "이재명 정부의 균형성장전략인 5극 3특 체제에 대한 기대가 매우 높았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해수부 이전과 가덕도공항으로 균형발전의 날개를 단 동남권처럼, 특별한 희생을 감내한 호남권에도 특별한 지원과 균형발전의 날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덧붙였다.
 
신 위원장은 "도민들이 균형성장을 위해 가장 많이 말씀하신 것 중 하나가 바로 농림축산식품부의 전남 이전이었다"며 "전남은 전국 최대 농업지역이자 소멸지수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지방소멸과 농업위기는 동전의 양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농업이 사라지면 지방도 사라진다"며 "농식품부의 전남 이전은 지방소멸과 농업 회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국가전략"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전남 농민들은 스마트팜을 도입하고 AI농업시대를 준비하고 있으며, 인접한 광주는 AI도시를 지향하고 있다"며 "광주의 AI기술과 전남의 혁신농업이 만나 AI농업의 중심지로 도약해야 하며, 이 일을 농식품부가 전남에 와서 성공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신 위원장은 "이미 전남에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공무원교육원 등 농식품부 산하기관이 모두 모여 있다"며 "선원은 같은 배를 타고 있는데 선장만 다른 배를 타고 있는 셈"이라고 비유했다. 이어 "해양수산부가 부산항과 남해안이라는 정책 현장에 맞춰 이전한 것처럼, 농식품부 역시 농정의 중심지인 전남으로 이전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신위원장은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은 낙후지역 성장을 위한 전 세계적 국가균형발전 전략"이라며 "독일, 일본, 핀란드, 스웨덴, 영국 등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현장 행정 강화를 위해 부처를 분산 배치해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농식품부 전남 이전은 국가균형발전의 동력이자, 농업의 국가전략산업화를 촉진할 계기가 될 것"이라며 "스마트농업, K-푸드, AI농업 등 첨단농업 발전의 전기가 되고, 새 정부가 추진한 양곡관리법, 농수산물가격안정법, 한우법,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의 실효성을 높이는 농업 르네상스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신 위원장은 "정부부처의 이전이 쉽지 않은 결정이라는 점을 이해하지만, 기후위기와 식량위기, 지방소멸이라는 국가적 과제 앞에서 농식품부 전남 이전은 반드시 논의돼야 한다"며 "5극 3특 전략 중 동남권이 해수부 이전과 가덕도공항으로 날개를 단 만큼, 호남권에도 농식품부 이전이라는 균형발전의 날개를 달아줄 것을 전남도민과 함께 요청드린다"고 밝혔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