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의약품 100% 관세 부과 잠정 연기 "제약사와 협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초 이달 1일(현지시간)부터 시행하겠다고 예고했던 의약품 관세 부과를 미루기로 했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화이자와의 대규모 투자 계약을 계기로 관세 부과 대신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협상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지난 4월부터 의약품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며 관세 부과 가능성을 경고해왔다. 지난 8월 CNBC 인터뷰에서는 '소규모 관세(small tariff)'를 먼저 적용한 뒤 1년~1년 반 안에 150%, 더 나아가 250%까지 인상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어 지난달 25일에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 내 생산 공장이 없는 기업의 브랜드·특허 의약품에 대해 10월 1일부터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화이자가 미국 내 의약품 제조 역량 강화를 위해 700억달러(약 98조원)를 투자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의약품 직접 구매 플랫폼 'TrumpRx.gov'에 참여해 저가 의약품을 공급하기로 합의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이로써 화이자는 향후 3년간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의약품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폴리티코는 이번 화이자와의 계약을 미국 정부가 '이상적인 모델'로 간주하고 있으며, 조만간 다른 글로벌 제약사와도 유사한 합의가 발표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관세 부과가 일시적으로 중단됐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잦은 방침 번복으로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특히 관세 시행 시기를 가늠하기 어렵고, 최근 미국 정부 셧다운 사태로 관련 인력까지 줄면서 기업들의 문의 대응도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