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협상 난항에도 9월 수출 역대 최대치…10월 전망은 '글쎄'

9월 수출입 동향
1년 전에 비해 12.7% 증가…660만달러 육박
미국발 관세폭탄에도…반도체·車 선방 수출 견인
대미 수출 1.4% 감소했지만…그 외 모든 지역서 수출 증가
연휴 껴 있던 작년 9월 대비 조업일수 증가 효과도
10월 수출 전망은 '글쎄'…'관세 충격 대비해야' 지적도

연합뉴스

한미 관세 협상 난항으로 미국의 고율 품목 관세가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지난달 수출액이 660만달러에 육박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런 호실적은 대표 품목인 반도체와 자동차가 견인했다. 다만 추석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와 관세 충격 지속 여파 등을 감안하면 10월 수출은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도 뒤따른다.
 
산업통상부는 1일 '2025년 9월 수출입동향'을 발표하고 지난달 수출액이 전년 동월 대비 12.7% 증가한 659억5천만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2022년 3월(638억달러) 이후 3년 6개월 만에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것이다. 3분기 수출액도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한 1850억3천만달러를 기록해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지난달 수출 실적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반도체와 자동차를 포함한 15대 주력 품목 가운데 10개 품목 수출액이 증가했다. 특히 대표 수출 효자 품목으로 꼽히는 반도체의 수출액은 166억1천만달러로, 1년 전보다 22.0%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찍었다. AI(인공지능) 붐과 맞물린 견조한 수요와 메모리 가격 상승효과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미국 관세 직격탄을 맞고 있는 자동차 품목의 수출액도 16.8% 증가한 64억달러로 집계되며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순수전기차(EV)·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와 내연기관차의 수출이 모두 증가했다. 대미 자동차 수출은 2.3% 감소한 19억1천만달러였으나, 유럽 등 다른 지역에서 선방하면서 역대 9월 중 최대 수출 기록을 세웠다. EU(유럽연합)으로의 수출액은 7억달러로 작년보다 54%나 늘었다.
 
미국은 한국과의 관세 후속 협상 과정에서 대미 투자 방식을 놓고 줄다리기를 이어가며 한국산 자동차에 여전히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반면 협상을 마친 일본과 유럽산 자동차에 대해서는 그보다 낮은 15%의 관세를 적용하고 있어 한국산 자동차가 불리한 환경 속에서도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달 전체 수출 실적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미 수출은 작년보다 1.4% 감소한 102억7천만달러로 집계됐다. 반면 대중국 수출은 116억8천만달러로 작년보다 0.5% 증가했다. 이에 따라 4개월 동안 마이너스 흐름을 끊고 플러스로 전환됐다.
 
대아세안 수출은 반도체, 일반기계, 선박 등 주요 품목이 증가하면서 역대 9월 중 최대실적인 110억6천만달러(+17.8%)를 기록해 4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대EU 수출도 3대 수출품목인 자동차, 선박, 일반기계 호조세에 힘입어 19.3% 증가한 71억6천만달러를 기록하면서 사상 최대실적을 냈다.
 
다만 작년 9월 대비 10% 넘는 수출액 증가폭은 부풀려진 측면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작년에는 9월에 포함되었던 추석 연휴가 올해는 10월로 넘어가면서 지난달 조업일이 전년 대비 나흘 늘어났다. 연휴를 대비해 미리 수출한 물량도 고려하면 10월 수출 실적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는 관측도 같은 맥락에서 나온다. 실제로 조업일수를 따진 9월 일평균 수출액은 27억5천만달러로 전년 대비 6.1% 감소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50% 고율 관세 충격이 지속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철강을 비롯해 전 분야에서 불확실한 관세 리스크에 대한 긴장을 놓아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지난달 대미 철강 수출은 1년 전에 비해 14.7% 감소했다.
 
한편 한국의 9월 수입은 8.2% 늘어난 564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무역수지는 95억6천만달러로 흑자다.

산업부 김정관 장관은 이에 대해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한 대미수출이 위축되는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수출시장 포트폴리오를 신속히 다변화하여 이룬 값진 성과"라면서 "정부는 우리 기업들이 수출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