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적격 판정을 받았다"며 전북의 2036 전주 하계 올림픽 유치계획을 SNS에 공개적으로 비판한 더불어민주당 윤준병(전북 정읍·고창) 국회의원이 "문제가 치유될 것"이라며 자신의 문제 제기가 올림픽 유치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시각을 보였다.
반면, 전북자치도는 "IOC(국제올림픽위원회)에서 오해할 수 있는 여지가 있어 걱정되고 있다"며 대외적인 신뢰도 하락과 IOC와의 관계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윤준병 의원은 1일 오전 전북도의회 기자실을 찾아 "전북이 제시한 '비수도권 연대(지방도시 연대)' 방안이 IOC 개최지 요건에 부합하지 않아 수용될 수 없다는 것을 '부적격'이라고 표현한 것"이라며 "하계 올림픽 성공을 위해 문제를 조기에 보완하고 제대로 된 틀을 만들어가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앞서 이번 문제 제기를 '죽비성 찬물'에 비유하며, 새만금 잼버리 사태와 같은 과오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누군가는 치밀하게 문제점을 점검하는 '문지기 기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적 의도'나 '내부 총질'이라는 비판에 대해서는 "SNS는 평소 소통 방식"이라며 "문제가 있는 걸 덮고 가는 것이 아니라, 아프더라도 공개해서 고름을 짜내야 성공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전북자치도는 우려를 표했다. 이어서 브리핑을 연 전북도 유희숙 올림픽TF추진단장은 "IOC가 (우리의) 대응 노력을 오해할 수 있는 여지가 있어 조심스럽고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특히 윤 의원 측이 제기한 '소통 부족' 문제에 대해 유 단장은 "(SNS 글이 올라오기 전 윤 의원실로부터) '이것을 보완하라, 개선하라'는 식의 직접적인 요구를 받은 바 없다"고 밝혔다.
유 단장은 '부적격 판정'이라는 표현에도 동의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현재는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 막바지 단계로, IOC·문체부·대한체육회와 계속 조정하는 과정"이라며 "IOC는 신규 경기장 건설에 부정적이면서도 '컴팩트한 개최'를 원하는 상충된 요구를 하고 있어, 여러 묘수를 찾는 지난한 과정에 있다"고 설명했다. 계획이 최종 확정된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수정·보완되는 단계라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