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방역관 인력 부족 문제 여전…전남과 전북 각 108명 공석

김선교 의원, "가축방역 인력 부족 문제 만성화"…"획기적 대책 세워야"

국민의힘 김선교 국회의원. 김선교 의원실 제공

전국의 가축방역관 부족 문제가 심각하지만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경기 여주·양평)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가축방역관 현황자료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가축방역관(공무원) 부족 인원은 673명으로, 적정인원에 비해 40.6%가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가축전염병 예방법상 전국의 가축방역관 적정인원은 1657명으로 산정되지만 가축방역관은 공중방역수의사 250명 외에 수의직 공무원 734명(정원 1094명)으로, 총 984명에 불과하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적정인원 27명 대비 10명 확보로 63%(17명)가 부족해 전국에서 부족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전북(56.0%), 전남(50.5%), 경남(48.8%), 대전(47.1%) 순으로 뒤를 이었다.
 
또 가축방역관 적정인원 대비 부족 현원의 절대인원이 가장 많은 지역은 전남·전북이 각 108명 공석이고 경북 93명, 경기 87명, 경남 84명이 채워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의 각 지자체는 공무직 가축방역관 확보가 해마다 난항인 상황에서 수의사법 제 21조에 따라 가축방역관으로 위촉된 민간 수의사를 통해 방역 인력을 보강하고 있지만 부산과 세종은 단 한 명도 공수의를 위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수의사회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국내 수의사 면허를 보유한 인원은 2만 3346 명으로, 이 가운데 현업종사자는 1만 5088명이다. 현업종사자 중 동물병원에 65%(9814명)가 종사하고 있다.

이와 관련 김선교 의원은 "전국의 가축 방역을 담당할 인력 부족문제가 만성화되고 있다"며 "정부는 가축방역관의 처우를 개선하고 전문인력의 양성화와 가축방역 인력의 효율적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획기적 대책을 세워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