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성평등가족부 확대 개편…"성평등 콘트롤타워 기능 강화"

2실 2국 3관 1대변인→27과3실 6관 1대변인 30과
성평등정책실 만들고 고용평등정책관도 신설
"'성평등' 중립적 용어 통해 차별과 기회 불균형 완화"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성평등가족부 현판 설치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여성가족부가 오는 10월 1일부터 성평등가족부로 확대·개편된다. 이에 따라 원민경 여가부 장관은 초대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되고, 성평등가족부는 성평등 정책 콘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한다.

여가부는 30일 국무회의에서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의결됨에 따라 오는 1일 0시부로 '성평등가족부'로 변경된다고 밝혔다. 약칭은 '성평등부'이고 , 영문 명칭은 기존과 같이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다.

이번 조직 개편으로 여가부는 '2실 2국 3관 1대변인 27과' 체제에서 '3실 6관 1대변인 30과'로 확대된다. 기준 정원도 277명에서 294명으로 17명이 늘어난다.

성평등정책실을 새로 만들고 그 밑에 성평등정책관, 고용평등정책관, 안전인권정책관을 둔다. 고용평등정책관은 이번 조직 확대 개편과 함께 신설됐다. 성평등정책관, 안전인권정책관은 각각 기존 여성정책국과 권익증진국 업무를 이관했다.

성평등정책관은 1관 4과 조직으로 성평등정책 총괄·조정, 성별 불균형·차별적 제도 개선, 성평등 문화 확산 기능을 보강한다. 고용평등정책관은 1관 3과를 신설하고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성별근로공시제, 새일센터 상담 등 고용노동부 업무를 이관받아 여성 경제활동 촉진 및 경력단절 예방을 활동을 총괄할 예정이다.

안전인권정책관은 성평등정책실 소속으로 옮겨 폭력 예방 및 피해자 지원을 위한 관계기관 연계 및 협력 체계를 강화한다. 안전인권정책관 산하 가정폭력스토킹방지과는 '친밀관계폭력방지과'로 명칭을 바꾼다.

여가부는 이날 브리핑을 열고 "성평등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고 고용평등 및 폭력 대응 기능과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성평등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개편했다"고 밝혔다.

원민경 초대 성평등가족부 장관. 연합뉴스

부처 명칭에서 '여성'을 빼고 '성평등'으로 바꾼 데 대해 김권영 정책기획관은 "성별의 차별을 완화하고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기존의 여성가족부 명칭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양성평등이라는 말은 두 개의 성을 대립적으로 구분해 갈등을 야기하는 측면이 있었다"며 "성평등이라는 중립적 용어를 통해 성별 간의 차별과 기회의 불균형을 완화하고 실질적인 성평등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금순 여성정책과장은 "남성 청년들은 남성들이 차별 받는다고 생각하고 여성 청년들은 여성이 차별 받는다고 생각하는 등 인식 격차가 굉장히 크다"며 "신설되는 성형평성기획과에서 관련 사례를 발굴하고 의제화해서 정책을 추진하는 일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는 1일에는 성평등가족부 공식 출범에 따른 현판식이 진행될 예정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