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북한은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3대 국가 중 하나가 됐다"는 발언에 대해 외교부는 "한반도 비핵화는 한미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일관된 목표"라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30일 정 장관의 발언이 정부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한다는 입장인지 묻는 질문에 "여타 부처 장관께서 말씀하신 사항에 추가로 말씀드릴 사안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정 장관은 29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북한이 스스로 전략국가라고 말하는데 전략적 위치가 달라졌다. (싱가포르에서 1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7년 전 위치와는 다르다"며 "냉정하게 인정할 건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날 북한은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핵포기 불가 입장을 재확인하기도 했다.
김선경 북한 외무성 부상은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우리에게 비핵화를 하라는 것은 곧 주권을 포기하고 생존법을 포기하며 헌법을 어기라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절대로 주권포기, 생존권 포기, 위헌행위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한반도의 비핵화는 한미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일관된 목표"라며 "유엔 차원에서도 일련의 안보리 결의 등을 통해 북한의 비핵화를 촉구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정부는 이미 북한의 체제 존중, 흡수통일 불추구, 적대행위 의사부재라는 남북관계 관련 원칙을 밝힌 바 있다"며 "긴밀한 한미 공조 하에 포괄적인 대화를 통해 평화공존 및 공동성장을 향해 나가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