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가 방산업체에 미사일 생산율을 2배 또는 4배로 늘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소식통을 인용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국방부는 '군수품 생산 촉진 위원회'를 구성하고 여러 차례 회의를 열어 미사일 제조사에 증산을 압박해 왔으며, 스티븐 파인버그 부장관도 이례적으로 직접 관여해 일부 기업 임원들과 매주 전화로 논의하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국방부가 미사일 제조사들과 처음 위원회 회의를 연 것은 지난 6월로 당시 회의에는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과 댄 케인 합참의장이 참석했으며 여러 방산업체 임원과 인공지능(AI) 방산기업 안두릴 등 신규업체들, 로켓 추진체·배터리 등 중요 부품 제조사들도 소집됐다.
WSJ이 입수한 문서에 따르면 미사일 제조사들은 이 회의에서 향후 6개월, 18개월, 24개월 동안 단계적으로 생산량을 현재의 2.5배로 늘릴 수 있는 방안을 상세히 제시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위원회는 패트리엇 미사일, 장거리 대함 미사일(LRASM), SM-6 미사일, 프리즘(PrSM) 미사일, 합동공대지장거리미사일(JASSM) 등 12종의 주요 미사일 증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요격 미사일인 패트리엇은 제조사 록히드 마틴이 급증하는 글로벌 수요를 따라잡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실제로 육군은 2024~2026 회계연도에 걸쳐 약 100억 달러(14조 원)를 지급하기로 하고 PAC-3 패트리엇 미사일 약 2천 기를 주문했다.
국방부는 공급업체들이 궁극적으로 매년 동일한 수의 패트리엇 미사일을 생산하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생산량의 4배에 달하는 규모라고 WSJ 소식통들을 인용해 전했다.
숀 파넬 국방부 대변인은 해당 위원회와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헤그세스 장관은 군사력 확대와 군수품 생산 촉진을 위해 특별한 길을 모색하고 있다"며 "이번 노력은 방산업계 리더들과 국방부 고위 관계자들의 협력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WSJ는 정부 안팎의 일부 관계자들이 정부의 증산 목표가 현실적이지 않아 우려하고 있다고도 보도했다.
무엇보다 미사일 1기를 조립하는 데는 2년이 걸리고, 새 공급업체 미사일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시험하고 인증하는 데만도 수개월간 수억 달러가 소요되기 때문이다.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군수 전문가 톰 카라코는 "기업은 구매자가 분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런 물품(미사일)을 만들지 않는다"며 "기업은 정부가 계약을 체결하고 자금을 지원할 때까지 기다린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