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금융소비자보호처를 소비자보호 총괄본부로 격상한다. 금융당국 개편 방안이 정부조직법 개정안에서 빠진 뒤 자체 쇄신안을 마련한 것이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29일 금감원에서 열린 '전 임직원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 결의대회'에서 "조직 운영·인사·업무절차 등을 금융소비자 보호 중심으로 전면 개편해 완전히 새로운 조직으로 재탄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연말까지 금융소비자보호처를 소비자보호 총괄본부로 높이고 수석부원장이 관할하는 최선임 부서로서 업무를 총괄토록 체계를 바꾼다. 각 권역 본부가 민원·분쟁, 상품심사, 감독·검사 업무를 해당 임원 책임 아래 원스톱으로 처리하도록 한다.
총괄본부는 권역 간 민원·분쟁, 상품심사, 감독·검사 등 소비자보호 업무가 일관되고 균형감 있게 수행될 수 있도록 총괄·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금소처 산하 분쟁조정국을 은행·보험·금융투자 등 각 권역 본부로 편제해 민원·분쟁과 감독·검사 간 공조가 신속히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지난 4일 출범한 '사전예방적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 TF'는 '금융소비자보호기획단'으로 확대 개편한다.
금감원장 직속 '금융소비자보호위원회'를 신설해서 소비자 보호 분야 전문가와 일반 소비자들의 목소리를 듣고 주요 제도 개선과 검사 사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또, 불법사금융·보이스피싱·보험사기 등 민생침해 금융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인력과 조직을 보강한 '민생범죄대응총괄단'도 가동한다.
이 원장은 "금융소비자에게 열린 조직이 되고, 공정한 룰을 어긴 금융회사에 엄격한 심판자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해야 한다"며 "그간 관행적 업무 프로세스와 조직문화 등을 과감히 폐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