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구단 감독들과 선수들이 꼽은 우승 후보는 KCC와 LG였다.
29일 블루스퀘어에서 열린 2025-2026 LG전자 프로농구 개막 미디어데이. 언제나처럼 10개 구단 사령탑과 선수들이 자신의 팀을 제외한 9개 팀 가운데 우승 후보를 지목했다.
KCC와 LG가 가장 많은 표를 받았다. DB와 삼성, SK, 한국가스공사가 KCC를 우승 후보로 선택했고, 소노와 정관장, KT, 현대모비스가 LG를 우승 후보로 꼽았다. 이밖에 KT와 한국가스공사도 1표씩을 얻었다. LG는 KT를, KCC는 한국가스공사에게 표를 던졌다.
KCC는 일찌감치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다. 허웅, 최준용, 송교창으로 이어지는 라인업에 허훈이 FA로 더해졌다. 이승현이 트레이드로 떠났지만, 장재석을 데려와 공백을 메웠다. 여기에 KCC(전신 현대 포함)에서 선수와 코치로 우승을 경험한 이상민 감독이 새롭게 지휘봉을 잡았다.
이정현(DB)은 "허훈이 와서 포인트 가드 약점도 지워졌다"고 말했고, 안영준(SK)은 "슈퍼스타가 많다. 최준용 형은 머리 스타일부터 슈퍼스타"라고 강조했다. 최현민(삼성)과 정성우(한국가스공가) 역시 다수의 슈퍼스타를 이유로 설명했다.
디펜딩 챔피언 LG도 KCC와 같은 4표를 획득했다. LG는 유기상, 양준석, 칼 타마요, 정인덕, 아셈 마레이 등 우승 멤버들이 건재하다. 여기에 11월에는 양홍석까지 전역한다.
이정현(소노)은 "슈퍼스타 양준석과 유기상을 보유한 LG가 강력할 것"이라고 말했고, 변준형(정관장)은 "다른 팀은 선수 이동이 있는데 LG는 기존 멤버가 유지됐다. 상무에서 복귀하는 양홍석, 윤원상도 있어서 더 강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선형(KT), 함지훈(현대모비스) 등 베테랑의 생각도 같았다.
KT도 1표를 얻었다. 문경은 감독과 함께 새롭게 출발하는 KT는 허훈이 떠난 자리를 김선형으로 메웠다. 특히NBA 신인 드래프트 전체 2순위 출신 데릭 윌리엄스를 영입해 창단 첫 우승에 도전한다. 유기상(LG)은 "KT가 국네 선수 뎁스가 너무 좋다. KT 구단 유튜브를 많이 본다. 하이라이트를 보면 외국인 선수 구성도 좋고, 신장이 좋은 선수들이 수비도 열심히 해서 강할 것 같다"고 KT에 표를 줬다.
KCC는 라건아(한국가스공사)의 이름을 적어 눈길을 끌었다. 허웅은 "라건아가 외국인 선수 중 가장 우승을 많이 했기에 라건아가 있는 한국가스공사가 우승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