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30일 부산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 달 만에 정상회담을 갖는다. 회담과 이어지는 만찬에서는 지역 활성화 문제와 함께 미국과의 관세 협상 등 외교 현안도 폭넓게 다뤄질 전망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9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번 정상회담은 지난 8월 이 대통령의 일본 방문에 대한 답방 성격으로, 한 달 만에 두 정상의 만남이 다시 이뤄졌다는 점에서 한일 간 셔틀외교가 복원·정착됐음을 의미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위 실장은 "이번 회담에서는 양국의 공통 문제인 인구문제, 지방 활성화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인공지능(AI), 수소에너지 등 미래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두고도 대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격변하는 무역질서 속에 유사한 입장을 가진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양국이 논의의 지평을 확대하는 기회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위 실장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정상회담 의제는 아니라면서도 "지난번 정상회담 때도 의제는 아니었지만 그 문제가 논의됐고 일본의 경험으로부터 꽤 유용한 조언을 취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번 회담에서도 양 정상이 "지정학적 변화에 어떻게 대처하는 게 적절한지 지혜를 모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3500억불 대미 투자 펀드 조성을 두고 교착 상태인 한미 협상에 대해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선불' 발언 관련) 우리가 발신하는 얘기를 다 소화한 다음에 나온 말인지, 그와 관계없이 나온 얘긴지 확신할 수 없다"며 "우리 입장에서는 3500억불 현금 지급은 가능한 영역이 아니라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못박았다.
그는 협상을 둘러싼 '동맹파·자주파' 논란에 대해서는 "지금 미국과의 협상이 상당히 첨예한 상황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우리가 가용한 카드를 이용하고, '오버 플레이'하지 않아야 한다"며 "저는 협상 과정에서 강한 입장을 취하는 사람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한편 일본 정상이 정상회담을 위해 방한하면서 서울이 아닌 도시에 방문하는 경우는 2004년 이후 21년 만이다. 이는 지난 8월 정상회담 당시 이 대통령이 "서울이 아닌 지방에서 만나자"는 취지로 언급한 데 따른 것이다.
위 실장은 이시바 총리가 다음달 퇴임하는 점과 관련해선 "퇴임 후에도 일본 정계의 중진의원으로 계속해서 한일관계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을 확인하는 회담이 될 것"이라며 "정상회담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이슈들이 정권을 넘어 한일 양측이 공동으로 안고 있는 문제라 정부가 바뀌어도 지속성이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