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행정 전산망 운영이 차질을 빚자 시민 불편 최소화에 모든 힘을 쏟고 있다.
이번 화재는 지난 26일 오후 8시 15~20분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전산실에서 발생해 이튿날 오후 6시쯤 완전히 진화됐다.
정부는 27일 오전 국가위기경보 단계를 '심각'으로 격상한 상태로, 주민등록·정부24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되는 주요 전산 시스템 다수가 전국적으로 장애를 겪고 있다.
이에 경주시는 지난 28일 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에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시민 불편 최소화 방안 마련에 나섰다.
경주에서는 주민등록 전입·정정 신고와 주민등록증 발급 등이 중단돼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수기 접수로 민원을 처리하고 있다.
또 건축행정시스템(세움터)과 산지전용정보시스템도 접속이 불가능해 인허가 민원은 서면으로 전환했다.
농업 분야는 28일 오전 농림사업정보시스템(아그릭스) 접속이 정상화됐지만, 농업 보조금 신청 마감일(9월 30일)이 임박함에 따라 경주시는 농식품부에 기한 연장을 요청한 상태다.
복지 분야에서는 전자바우처 결제가 중단됐고, 아이돌봄 서비스도 일부 실명인증·예치금 충전 오류가 발생했다. 이에 시는 제공기관에 안내를 마치고 수기 기록과 가상계좌 입금 방식으로 서비스를 이어가고 있다.
언론홍보 창구인 공직자통합메일도 장애를 겪으면서 경주시 홍보담당관실은 보도자료 배포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네이버 등 대체 이메일 계정을 활용해 자료를 발송하는 등 비상조치에 나섰다.
경주시는 긴급회의를 통해 외부 장애로 인한 영향 최소화 방안, 중단된 서비스의 대체 수단 마련, 민원 응대를 위한 콜센터 기능 강화 등을 논의했다.
이와 함께 서비스 지연·중단이 예상되는 분야에 대해서는 수기 접수 등 임시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전국적인 전산 장애 상황이지만 시민 불편 최소화를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며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복구가 신속히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