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서북부 지역 상습정체구간 구조개선 본격 추진

외삼~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 임시 개통
구암교차로 입체화 신설 등 핵심전략 발표

이장우 대전시장이 29일 대전시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구암교차로 입체화 사업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서북부 지역의 교통정체 해소를 위해 대규모 구조 개선 사업을 본격화한다.

대전시는 다음달 1일부터 외삼~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를 임시 개통하고, 유성IC~장대교차로~구암교네거리~구암역삼거리 일대 교통 개선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다음달 1일 임시 개통되는 구간은 외삼~장대교차로~박산로 5.8km 구간이며, 외삼~월드컵네거리~장대교차로 4.9km 구간은 중앙버스전용차로로 운영된다.

시는 대형 승합차와 36인승 미만 사업용 승합차, 16인승 이상 통학·통근 차량도 전용차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M1번·119번 버스를 우선 투입하고, B2, B4와 123번도 순차적으로 추가 운행할 예정이다.
 
장대교차로~박산로 0.8km 구간은 중·소형 차량 위주(높이제한 3.0m)로 통행시켜 서북부 지역의 교통혼잡을 일부 해소한다.
 
시는 외삼~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 호남고속도로 지선 통과 구간에 지하차도 건설(1구간)과 구암교차로 입체화(2구간)를 병행 추진한다.

구암교차로 구간은 BRT 연결도로가 완전 개통되면 시간당 8천여 대 차량이 통행할 예정으로, 현재 교통량 대비 70%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둔산 방면 900m구간에 초등학교 등 어린이 보호구역이 밀집해 있어 교통안전 차원에서도 입체화는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2구간은 죽동2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과 연계해 구체적 추진 방안을 확정하고, 내년 5월까지 타당성 조사를 마칠 계획이다.
 
장대교차로 입체화 사업도 정상 추진 중으로, 동서 방향 지하화로 전환해 현재 설계가 마무리 단계다.

시는 사업이 완료되면 대전 서북부 지역 통행량의 약 40% 이상이 분산되고, 현재 12분 30초 소요되는 장대교차로~유성생명고등학교 등 고질적 상습정체 구간 통행시간이 5분 48초로 단축된다고 설명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유성IC에서 장대교차로, 구암교네거리, 구암역삼거리로 이어지는 구간은 대전 서북부 교통의 가장 큰 병목 지점"이라며 "이번 구조개선 사업은 유성 체류 차량과 둔산 도심권 통과 수요를 분산시켜 교통체계 전반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