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647개 서비스 중 모바일 신분증 등 30개 서비스 복구"

월요일인 29일부터 대국민 서비스 큰 차질…'민원대란' 우려

이재명 대통령이 28일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상황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인한 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와 관련해 647개 서비스 중 모바일 신분증과 우체국 인터넷 예금 등 30개 서비스가 복구됐다고 28일 밝혔다.

30개 서비스 외에 나머지는 시스템 점검 후 순차적으로 가동될 예정으로 월요일인 29일부터 국민들의 큰 불편이 예상된다.

행정안전부는 "복구는 국민안전과 국민 재산과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최우선으로 하고 시스템 중요도 등 등급제에 따라 우선순위를 두고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명히 상황을 공개하고 업무 연속성 유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밝힌 복구된 서비스는 모바일 신분증과 문서유통시스템, 정부 암호이용시스템, 국정관리 시스템,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 우체국 인터넷 예금과 인터넷 보험, 학사행정, 노인맞춤형돌봄시스템과 취약노인지원시스템 등이다.

그러나 정부24를 비롯해 국민신문고와 보건복지분야 정보시스템 등 국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 대부분이 가동이 중단된 상태여서 국민들의 불편과 혼란이 불가피하게 됐다.

우선 복지부와 소속기관 홈페이지는 물론이고 복지로,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장기조직혈액통합관리시스템, 첨단재생의료포털, 연명의료 정보처리시스템, 사회서비스 정보시스템, 휴·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 발급 포털 등에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다.

복지로는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의료·교육급여, 긴급복지지원, 아동수당, 기초연금, 에너지 바우처 등 각종 복지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는 웹사이트다.

전국 화장시설을 검색해 온라인으로 예약하는 e하늘장사정보시스템도 접속이 제한돼 현재 개별 화장장에 온라인 또는 유선으로 신청해야만 한다.

정부의 대외 서비스 뿐 아니라 내부 업무 전산망인 '온나라시스템'이 마비도 이어져 정부 전 부처의 문서 작성, 결재 등 업무도 차질이 예상된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