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복구 개시…직접피해 96개 시스템 '이전' 검토

김민석 국무총리가 27일 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7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중단된 행정정보시스템 복구 작업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오후 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이날 중에는 항온항습기를, 다음 날인 28일까지는 네트워크 장비를 복구해 국민 생활·경제와 직결되는 주요 서비스부터 순차적으로 정상화하는 것을 목표로 장애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화재로 이용이 차단된 총 647개의 시스템 중 우선 551개를 단계적으로 재가동할 방침이다.
 
중대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장애 시스템을 담당하는 부처와 함께 대응 중이며, 상황총괄반·업무연속성반·장애조치반 등을 통해 현장 상황 파악과 장애 조치에 집중하고 있다.
 
윤 장관은 "국민 안전과 재산 보호, 경제활동에 직결되는 필수 시스템부터 정상화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이번 대응 목표는 단순한 업무 재개가 아니라 국민 신뢰 회복과 직결된 문제"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화재로 전소된 배터리 384대를 모두 서버에서 분리해 밖으로 반출했다.
 
아울러 항온항습기와 네트워크 장비가 순차적으로 복구되면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게 보전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시킨 행정정보시스템의 재가동 여부를 확인할 방침이다.
 
27일 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이 소화수조에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를 넣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정부는 화재 열기로 전산실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장치가 작동을 멈추자, 서버 등 장비 손상을 우려한 국정자원 측은 대전 본원 내 647개 시스템 전원을 모두 차단했다.
 
647개 중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대국민 서비스는 436개이고 나머지 211개는 공무원 업무용 행정내부망 서비스다.
 
재가동은 화재 피해를 입지 않은 시스템부터 진행되며, 이후 국민 안전과 재산,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최우선으로 두고 시스템 중요도 등 등급에 따라 우선순위를 두고 복구가 이뤄질 예정이다.
 
앞서 중대본은 이번 화재로 직접 피해를 입은 시스템을 1등급 12개, 2등급 58개 등 70개로 발표했는데, 정밀 점검 결과 96개로 늘어났다.
 
이들 96개 시스템은 물리적 손상을 입은 만큼 이전 복구를 검토하고 있다.
 
윤 장관은 "7-1전산실에서 화재에 직접 피해를 받은 96개 시스템은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이전을 검토한다"며 "전소된 환경에서의 복구보다 이전 재설치가 복구에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민원 처리 지연, 증명서 발급 차질 등 국민 여러분께 큰 불편을 끼쳐드리게 되어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이기도 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